[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6-10)

2025. 6. 11. 07:02·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Wazuh와 WebDAV에서 각각 원격 코드 실행과 파일 이름/경로 제어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두 취약점 모두 공격자가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위협입니다. 벤더의 지침에 따라 완화 조치를 적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BOD 22-01 지침을 따르거나, 완화 조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제품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 Wazuh 서버에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CVE-2025-24016) 발견.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 역직렬화가 원인.
  • WebDAV에서 파일 이름/경로 외부 제어 취약점 (CVE-2025-33053) 발견. Microsoft Windows를 포함한 다양한 WebDAV 구현 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두 취약점 모두 공격자가 시스템 제어권을 얻을 수 있게 함.
  • 벤더 지침에 따른 완화 조치, BOD 22-01 지침 준수, 또는 제품 사용 중단 필요.

기술 세부 내용

1️⃣ Wazuh Deserialization of Untrusted Data Vulnerability (CVE-2025-24016)

  • 취약점: Wazuh 서버가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를 역직렬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입니다.
  • 영향: 공격자가 악의적인 코드를 실행하여 Wazuh 서버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완화 방안: 벤더(Wazuh)에서 제공하는 완화 조치를 적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BOD 22-01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 완화 조치가 없는 경우 Wazuh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 CVE ID: CVE-2025-24016
  • 날짜: 2025-06-10 발견, 2025-07-01 공개
  • 참고: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직렬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객체 형태로 복원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공격자는 악의적인 코드가 포함된 직렬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2️⃣ WebDAV External Control of File Name or Path Vulnerability (CVE-2025-33053)

  • 취약점: WebDAV (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에서 파일 이름이나 경로를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 영향: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Windows를 포함한 다양한 WebDAV 구현 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완화 방안: 벤더에서 제공하는 완화 조치를 적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BOD 22-01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 완화 조치가 없는 경우 WebDAV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해당 제품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 CVE ID: CVE-2025-33053
  • 날짜: 2025-06-10 발견, 2025-07-01 공개
  • 참고: WebDAV는 HTT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웹 서버에서 파일을 공유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 취약점을 통해 공격자는 파일 이름이나 경로를 조작하여 시스템에 접근하고 악성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knvd.krcert.or.kr/detailSecNo.do?IDX=6496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카스퍼스키, “국내 통신사 해킹 BPFDoor 악성코드, 2020년 최초 탐지”…최신 변종 분석 보고서 발표  (0) 2025.06.11
[데일리시큐]안랩,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주의” 당부  (2) 2025.06.11
[보안뉴스]이틀째 불통 예스24...랜섬웨어 공격이 원인이었다  (0) 2025.06.10
[데일리시큐]미라이 봇넷, 와주 서버 취약점 악용해 글로벌 DDoS 공격 전개..한국 피해 주의  (2) 2025.06.10
[데일리시큐]씨큐비스타, 러시아·중국 등 사이버전 대비 '국가 배후 해킹 분석보고서' 발표  (1) 2025.06.10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일리시큐]카스퍼스키, “국내 통신사 해킹 BPFDoor 악성코드, 2020년 최초 탐지”…최신 변종 분석 보고서 발표
  • [데일리시큐]안랩,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주의” 당부
  • [보안뉴스]이틀째 불통 예스24...랜섬웨어 공격이 원인이었다
  • [데일리시큐]미라이 봇넷, 와주 서버 취약점 악용해 글로벌 DDoS 공격 전개..한국 피해 주의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55)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343) N
      • CVE (5) N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6-10)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