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북한 연계 해킹 그룹 블루노로프(BlueNoroff)가 딥페이크와 악성코드를 이용해 가상화폐 기업을 공격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Zoom 회의 조작, macOS 악성코드 설치 등 정교한 공격 방식을 사용했으며, 텔레그램 메시지와 Calendly 링크를 통해 피해자를 유인했습니다. 보안업체 헌트러스(Huntress)가 이 공격을 분석하여 6월 11일 공개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북한 연계 해킹 그룹 블루노로프, 딥페이크와 악성코드 활용 공격 감행.
- 가상화폐 기업 타겟, Zoom 회의 조작 및 macOS 악성코드 설치 시도.
- 텔레그램 메시지와 위장된 Calendly 링크를 이용한 사회공학적 기법 사용.
- 보안업체 헌트러스, 공격 분석 결과 6월 11일 공개.
기술 세부 내용
1️⃣ Deepfake (딥페이크)
- 딥페이크는 AI 기반 기술로, 특정 인물의 얼굴이나 음성을 다른 사람의 얼굴이나 음성에 합성하는 기술입니다. ️↔️️
- 이 기술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하여 매우 사실적인 가짜 영상이나 음성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블루노로프는 딥페이크를 이용하여 Zoom 회의를 조작하고, 참석자들을 속여 악성 행위를 수행하려고 시도했습니다.
- 딥페이크 기술 악용은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시스템을 위협하는 심각한 보안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
2️⃣ macOS Malware (macOS 악성코드)
- macOS는 Apple에서 개발한 운영 체제로, 일반적으로 Windows보다 보안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블루노로프는 macOS 시스템을 공격하기 위한 특수한 악성코드를 개발하여 사용했습니다.
- 이 악성코드는 피해자의 시스템에 침투하여 정보 탈취, 시스템 제어 등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macOS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사이버 공격에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3️⃣ Social Engineering (사회공학적 기법)
- 사회공학적 기법은 사람의 심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 블루노로프는 텔레그램 메시지와 Calendly 링크를 이용하여 피해자를 속였습니다.
- 외부 인사로 가장하여 대화를 요청하고, 구글 미팅으로 위장한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피해자의 경계심을 낮추고 링크 클릭을 유도했습니다.
- 사회공학적 기법은 기술적인 취약점을 공격하는 것보다 사람의 심리를 공략하기 때문에 방어하기 어렵습니다. ️
4️⃣ Calendly and Telegram (캘린들리 & 텔레그램)
- Calendly는 일정 관리 및 회의 예약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 Telegram은 보안 메신저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 공격에서 초기 접촉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 공격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플랫폼을 악용하여 공격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
- 잘 알려진 플랫폼이라도 악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5️⃣ Huntress (헌트러스)
- Huntress는 사이버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분석하는 보안 업체입니다.
- 이번 블루노로프의 공격을 분석하고 상세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다른 기업들의 피해를 예방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199
728x90
반응형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美 이란 핵시설 직접 타격...트럼프 “이란, 전쟁 종식 동의해야” (0) | 2025.06.22 |
---|---|
[보안뉴스]특허청, 한류상표 우선 심사…“처리기간 20% 단축” (1) | 2025.06.20 |
[KRCERT]Veeam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6.20 |
[보안뉴스]우리 기술 독자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만들 정예 팀 찾는다 (3) | 2025.06.20 |
[보안뉴스]클릭 안했는데 쿠팡 광고로 이동...방통위, 쿠팡 ‘납치광고’ 조사 착수 (2)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