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Microsoft가 러스트(Rust)로 작성된 악성코드 분석 도구 'RIFT'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RIFT는 방대한 러스트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에서 악성 행위를 신속하게 식별하여 분석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러스트 기반 악성코드는 BlackCat 랜섬웨어를 시작으로 Hive, 정보탈취기 등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분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Microsoft의 위협 인텔리전스 센터(MSTIC)에서 RIFT라는 러스트 악성코드 분석 도구를 오픈소스로 공개.
- RIFT는 러스트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에서 악성 행위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분석 시간 단축.
- BlackCat/ALPHV, Hive 랜섬웨어, 정보탈취기 등 러스트 기반 악성코드 증가 추세.
- RIFT를 통해 러스트 기반 악성코드 분석 효율 증대 기대
기술 세부 내용
1️⃣ RIFT (Rust Malware Identification and Function Tracking)
- 기능: 러스트로 작성된 악성 코드에서 공격자가 작성한 코드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도구
- 목적: 수많은 러스트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 사이에서 악성 행위를 빠르게 찾아 분석 시간 단축
- 작동 방식: RIFT는 러스트 악성코드의 바이너리를 분석하여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 호출과 그 외의 함수 호출을 구분합니다. 이를 통해 분석가는 핵심 악성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장점: 악성코드 분석가가 러스트 기반 악성코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여줌으로써, 더 빠른 대응과 방어 전략 수립을 가능하게 합니다.
- 오픈소스: RIFT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보안 커뮤니티의 참여와 개선을 통해 더욱 발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러스트(Rust) 기반 악성코드 증가 추세
- 2021년: BlackCat/ALPHV 랜섬웨어 등장 - 러스트로 작성된 최초의 랜섬웨어로 주목
- 2022년: Hive 랜섬웨어가 러스트로 전면 재작성 - 기존 악성코드가 러스트로 재작성되는 사례 증가
- 2023년: 러스트 정보탈취기가 GitHub Codespaces 악용 - 다양한 유형의 러스트 악성코드 등장
- 증가 원인: 러스트는 메모리 안전성과 성능 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악성코드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언어로 떠오르고 있음. 기존 C/C++ 악성코드 대비 분석 난이도 증가, 탐지 회피 용이 등 보안 측면에서 위협적임.
3️⃣ 러스트 악성코드 분석의 어려움
- 러스트는 비교적 새로운 언어이기 때문에 분석 도구 및 전문가 부족.
- 러스트의 복잡한 메모리 관리 구조로 인해 분석 난이도가 높음.
- 러스트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가 많아 악성코드 분석 시 많은 시간 소요. RIFT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461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KISIA, 청소년 사이버·AI 보안 진로 체험 여가부 인증 획득 (0) | 2025.06.30 |
---|---|
[데일리시큐]AI 제어 통제 장치 없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보안책임자의 몫 (2) | 2025.06.30 |
[보안뉴스]금융보안원, 혁신금융서비스 보안대책 평가...2년간 총 83건 진행 (0) | 2025.06.30 |
[보안뉴스]과기정통부가 뽑은 2025년 우수 보안 기술 9종은? (3) | 2025.06.30 |
[데일리시큐]미쓰비시 전기 ICS 하드웨어 취약점…냉방 제어 시스템 해킹 우려 (2)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