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일환으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총 92억원 규모의 이 사업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키오스크 개발 및 보급을 지원합니다. 8일 서울에서 진행된 2차 설명회에서는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향과 지원 내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을 위한 디지털 포용 정책 추진
-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 및 보급 지원 사업 (총 92억원 규모)
-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기술 지원 제공
- 서울에서 2차 사업 설명회 진행 (구체적인 사업 내용 공유)
기술 세부 내용
1️⃣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Barrier-Free Kiosk)
- 다양한 사용자(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키오스크를 의미합니다.
- 일반 키오스크와 달리, 시각, 청각, 운동능력 등에 제약이 있는 사용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과 기능이 적용됩니다.
- 예시)
- 음성 안내 및 화면 낭독 기능: 시각 장애인을 위해 화면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합니다.
- ⬆️⬇️ 높이 조절 기능: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키오스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큰 글씨 및 고대비 화면: 저시력 사용자를 위해 글씨 크기와 색상 대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 터치스크린 대신 물리 버튼 제공: 운동 능력이 제한된 사용자를 위한 대안 입력 방식을 제공합니다.
- 픽토그램(Pictogram) 활용: 이해하기 쉬운 그림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 전달력을 높입니다.
-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포용 정책 (Digital Inclusion Policy)
- 모든 사람이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정책입니다.
-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층 등 디지털 기술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과 교육을 포함합니다.
-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사회 통합을 목표로 하며,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합니다.
- 본 사업은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정보 취약 계층의 사회 참여 확대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기술지원사업 (Technical Support Project)
-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NIA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공하는 지원 사업입니다.
- 재정 지원, 기술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통해 기업 및 기관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을 장려합니다.
- 이를 통해 키오스크 제작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사용자 편의성 증대와 정보 접근성 개선에 기여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956&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특별 기고] 거대언어모델(LLM)의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 (0) | 2025.07.02 |
---|---|
[데일리시큐]구글, 올해 네 번째 크롬 제로데이 긴급 패치…실제 사이버 공격에 악용 (0) | 2025.07.02 |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7-01) (0) | 2025.07.02 |
[KRCERT]프린터 및 복합기 제품군 보안 주의 권고 (0) | 2025.07.01 |
[KRCERT]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