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금융위원회가 2024년 8월 발표한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통해 금융권 내 생성형 AI와 SaaS 활용 확대를 추진했으나, 1년이 지난 현재까지 규제와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로드맵의 취지는 클라우드 기반 혁신 기술 활용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것이었지만, 망분리 규제 완화의 어려움으로 기대했던 혁신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핵심 포인트
- 금융위원회, 2024년 8월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 발표. 금융권 내 생성형 AI 및 SaaS 활용 확대 목표.
- 클라우드 기반 혁신 기술 도입을 통해 금융권 디지털 전환 가속화 의도.
- 1년 경과, 규제 및 현실적 문제로 로드맵 이행에 차질 발생. 기대했던 혁신 미흡.
- 망분리 규제 완화의 어려움이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
기술 세부 내용
1️⃣ 생성형 AI (Generative AI)
- 설명: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코드 등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 금융 분야에서는 금융 상품 개발, 고객 서비스 개선, 사기 탐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 예시: 고객 질문에 대한 자동 응답 시스템 구축, 개인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 투자 전략 수립, 시장 분석 보고서 작성 등.
- 장점: 업무 효율성 증대, 새로운 서비스 개발, 고객 경험 개선.
- 단점: 데이터 편향성 문제, 생성된 결과물의 신뢰성 검증 필요, 보안 위협 가능성 등.
2️⃣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설명: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한 기능을 구독하여 사용 가능. 금융권에서는 CRM, ERP, 협업 도구 등 다양한 SaaS 솔루션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
- 장점: 초기 투자 비용 절감, 유지 보수 용이성, 접근성 향상, 확장성 및 유연성 확보.
- 단점: 인터넷 연결 의존성,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이슈, 벤더 종속성(Vendor lock-in) 가능성.
3️⃣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설명: 컴퓨팅 자원(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금융권에서도 클라우드 도입을 통해 IT 인프라 효율화 및 비용 절감을 추진 중.
- 종류: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장점: 비용 절감, 확장성, 유연성, 접근성 향상, 재해 복구 용이성.
- 단점: 보안 위협, 데이터 유출 가능성, 규제 준수 어려움, 벤더 종속성(Vendor lock-in) 가능성.
4️⃣ 망분리
- 설명: 보안 강화를 위해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 금융권에서는 전자금융감독규정에 따라 망분리 의무화.
- 종류: 물리적 망분리, 논리적 망분리.
- 장점: 보안 강화, 외부 공격으로부터 시스템 보호.
- 단점: 시스템 운영 및 관리의 복잡성 증가, 비용 증가, 최신 기술 도입 어려움.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566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Sudo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7.02 |
---|---|
[KRCERT]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7.02 |
[보안뉴스]조달청, 혁신제품 연계한 연구개발 과제 선정·추진 (0) | 2025.07.02 |
[KRCERT]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7.02 |
[KRCERT]Sudo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