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에서 9월 3일부터 '제1기 KU시큐리티 고위 전문가 과정(KUSAC)'을 개강합니다. 이 과정은 인공지능,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를 융합한 교육을 통해 소버린 AI 구현에 필요한 고위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기업의 인공지능 임원, CISO, CPO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핵심 포인트
- AI 100조 시대를 대비하여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소버린 AI 구현을 위한 전문가 양성 과정 개설
- AI,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를 융합한 교육 제공
- 정부, 공공기관, 기업의 AI 임원, CISO, CPO 등 고위직 대상
기술 세부 내용
1️⃣ Sovereign AI (소버린 AI)
- 정의: 데이터 주권, 알고리즘 투명성, 책임성을 확보하며 자국 내에서 안전하게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외부의 영향이나 통제 없이 자주적으로 AI 기술을 발전시키고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목표: 타국의 기술 종속을 벗어나 자체적인 AI 기술력을 확보하고, 데이터 유출 및 오용 방지, 편향되지 않고 공정한 AI 사용 등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안전한 디지털 사회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핵심 요소:
- 데이터 주권 (Data Sovereignty): 데이터의 소유권과 활용 권한을 국가 또는 개인이 통제하고 보호하는 것.
- 알고리즘 투명성 (Algorithm Transparency): AI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와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설명하는 것.
- 책임성 (Accountability): AI 시스템의 오류나 부작용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
- ⚙️ 기술적 요소: Federated Learning, Differential Privacy, Explainable AI (XAI), Blockchain 등의 기술이 소버린 AI 구현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CISO (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 ️ 역할: 기업 또는 조직의 정보 자산과 시스템을 보호하는 최고 책임자입니다. 사이버 공격, 데이터 유출, 시스템 장애 등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실행을 담당합니다.
- 주요 업무:
- 정보보호 정책 및 절차 수립 및 시행
- 보안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보안 취약점 분석 및 대응
- 보안 인식 제고 교육
- 정보보호 관련 법규 준수
- 필요 역량: 정보보안 전문 지식, 리스크 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리더십 등이 요구됩니다.
3️⃣ CPO (Chief Privacy Officer)
- 역할: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준수 및 개인정보 보호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총괄하는 책임자입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공, 파기 등 전 과정에 걸쳐 적법하고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감독합니다.
- 주요 업무:
- 개인정보보호 정책 및 규정 수립 및 시행
-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및 감독
- 개인정보 유출 사고 예방 및 대응
- 개인정보보호 교육
-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점검
- 필요 역량: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및 제도에 대한 전문 지식, 리스크 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요구됩니다.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795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카스퍼스키, 이더리움 수수료 사기 웹사이트 탐지...사용자 주의 권고 (0) | 2025.07.09 |
---|---|
[데일리시큐]금융보안원, ‘금융보안아카데미 2025‘ 입교식 개최 (0) | 2025.07.09 |
[데일리시큐]카스퍼스키, ‘가스 수수료 환불’ 미끼로 이더리움 지갑 털어가는 피싱 사이트 다수 적발 (1) | 2025.07.09 |
[보안뉴스]조달청,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인증관리 개선으로 행정 부담 줄이고 정보 정확성 높인다 (0) | 2025.07.09 |
[데일리시큐][제14회 정보보호의 날] 이재명 대통령 “AI 3대 강국은 ‘튼튼한 사이버보안’이 뒷받침될 때 현실이 된다”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