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조달청은 2025년 제1차 민·관합동 ‘조달 현장 규제혁신위원회’를 개최하여 80개의 주요 규제혁신 과제를 확정했습니다. 82개 규정, 7,000여 개 조항을 전수 조사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규제 개선을 추진합니다. 특히 혁신제품 협업 제조기업 확대 등을 통해 연말까지 총 760개 규정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핵심 포인트
- 80개 주요 규제혁신 과제 확정 및 시행 예정
- 82개 규정, 7,000여 개 조항 전수조사 및 현장 의견 수렴 반영
- 혁신제품 협업 제조기업 확대
- 2025년 말까지 760개 규정 개선 목표 (규제리셋)
기술 세부 내용
1️⃣ 조달 현장 규제혁신위원회
- 목적: 조달 관련 규제를 발굴하고 개선하여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고, 공공조달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
- 구성: 민간 전문가, 관련 업계 종사자, 정부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위원회.
- 기능: 조달 관련 법규, 제도, 절차 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및 개선 방안 마련, 현장 의견 수렴, 규제 개선 과제 발굴 및 추진.
- 운영: 정기적인 회의 개최 및 현장 방문 등을 통해 규제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이행 상황을 점검.
2️⃣ 규제리셋
- 의미: 기존의 복잡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간소화, 명확화, 현실화하여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
- 대상: 조달 관련 법규, 제도, 절차, 지침 등 82개 규정, 7,000여 개 조항.
- 방법: 전수 조사, 현장 의견 수렴, 이해관계자 협의 등을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추진.
- 목표: 2025년 말까지 총 760개 규정 개선.
3️⃣ 혁신제품 협업 제조기업 확대
- 배경: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을 지원하고 공공조달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 내용: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기업과 제조 능력을 갖춘 기업 간의 협업을 지원하여 제품 생산 및 판로 확보를 돕는 프로그램.
- 기대효과: 혁신제품 개발 활성화, 중소기업 성장 지원, 공공 서비스 질 향상.
4️⃣ 주요 과제 (80개 중 일부 예시 - 뉴스 본문에 명시되지 않아 임의 작성)
- ➡️ 조달계약 절차 간소화: 불필요한 서류 제출 요구 간소화, 전자계약 활성화 등을 통해 계약 절차를 간소화.
- ➡️ 입찰 참가 자격 완화: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에 대한 입찰 참가 기회 확대.
- ➡️ 계약 분쟁 해결 절차 개선: 분쟁 조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속한 해결 지원.
- ➡️ 공공구매 정보 제공 확대: 조달 정보 플랫폼 기능 강화, 정보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해 기업의 정보 획득을 지원.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072&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부산 금정구, 송전탑에 AI 산불감시 카메라 설치 추진 (0) | 2025.07.10 |
---|---|
[보안뉴스]누리랩, “여름 휴가철 틈탄 피싱 사이트 기승”...공식 사이트 확인 필수 (2) | 2025.07.10 |
[데일리시큐]누리랩 “여름 휴가철 맞아 여행 예약 사이트 사칭 피싱 기승 주의”…공식 URL 확인 필수 (4) | 2025.07.10 |
[데일리시큐]KISA-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급망 보안 모델 구축사업 협약식 개최 (0) | 2025.07.09 |
[보안뉴스][정보보호 주간] 공급망 보안은 제품 설계 첫 단계부터...KISA, ‘시큐어 바이 디자인’ 협약식 개최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