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요약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제주특별자치도, 전통시장 상인회,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여 제주도 내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이 사업은 탄소중립 실현과 소상공인 홍보 지원을 목표로 하며, 지속 가능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 포인트
- KISA가 제주도에서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전환을 선도합니다.
- 주요 목적은 종이 영수증 감소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과 지역 소상공인 홍보 지원입니다.
- 제주도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 우선적으로 도입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기술 세부 내용
전자영수증 서비스는 단순한 디지털화가 아닌, 민감한 거래 정보와 개인 정보를 다루므로 여러 보안 기술이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본문에는 구체적인 보안 기술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자영수증 시스템 구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보안 기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 암호화 (Data Encryption)
전자영수증에는 구매 품목, 가격, 결제 정보, 때로는 개인 식별 정보(PII) 등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정보가 안전하게 전송되고 저장되기 위해서는 강력한 암호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 전송 중 암호화 (Encryption in Transit):
- SSL/TLS (Secure Sockets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 사용자의 기기(스마트폰, PC 등)와 전자영수증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보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도청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수증 정보가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HTTPS 프로토콜이 바로 SSL/TLS를 웹 통신에 적용한 것입니다.
- 저장 중 암호화 (Encryption at Rest):
- 데이터베이스나 스토리지에 전자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될 때, 권한 없는 접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됩니다.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이나 RSA와 같은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인가된 키 없이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2️⃣ 전자 서명 (Digital Signature) &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 ✅
전자영수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해당 영수증이 발행된 이후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발행처가 명확함을 확인하는 기술입니다.
- 전자 서명 (Digital Signature):
- 발행처(상점, 결제 시스템)가 영수증 데이터에 고유한 암호화된 서명을 추가하는 기술입니다. 이 서명은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생성되며, 영수증 데이터의 무결성(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과 부인 방지(발행자가 영수증 발행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음)를 보장합니다. 수신자는 발행자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서명을 검증하고, 영수증이 원본 그대로이며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
- 전자 서명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되지만, 더 나아가 체크섬(Checksum)이나 해시 함수(Hash Function)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 및 저장 과정에서 오류나 의도치 않은 변경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수증 데이터의 해시 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데이터 접근 시마다 해시 값을 다시 계산하여 원본과 비교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3️⃣ 인증 및 인가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전자영수증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소비자, 상점주, 시스템 관리자 등)와 다른 시스템(결제 게이트웨이, 상점 POS 시스템 등)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각 주체가 접근할 수 있는 정보 및 기능의 범위를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 인증 (Authentication):
-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소비자 앱에서는 아이디/비밀번호, 생체 인식(지문, 얼굴), OTP (One-Time Password) 등을 통해 본인임을 인증합니다. 시스템 간 통신에서는 API 키(API Key), OAuth (Open Authorization), OpenID Connect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동 시스템의 신원을 확인합니다.
- 인가 (Authorization):
- 인증된 사용자나 시스템이 어떤 자원(특정 영수증, 관리자 페이지 등)에 접근하거나 어떤 기능(영수증 발행, 조회,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지 권한을 부여하고 통제하는 과정입니다.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을 적용하여 각 역할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함으로써, 보안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4️⃣ 보안 API 설계 (Secure API Design) ️
전자영수증 서비스는 다양한 외부 시스템(POS 시스템, 결제사, 은행, 소비자 앱 등)과 연동되어 작동합니다. 이러한 연동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이루어지며, API 자체의 보안 취약점은 전체 시스템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 입력값 유효성 검사 (Input Validation):
- API를 통해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예: 구매 품목명, 금액)는 서버 측에서 반드시 유효성 검사를 거쳐야 합니다. 악의적인 코드 주입(SQL Injection, Cross-Site Scripting)이나 잘못된 데이터 형식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를 방지합니다.
-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 각 API 엔드포인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명확히 설정합니다. 모든 API 호출에 대해 인증 및 인가 절차를 거쳐 허가된 사용자나 시스템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오류 처리 (Error Handling):
- API 호출 시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는 디버깅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해야 합니다. 내부 시스템 구조나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일반적인 오류 메시지를 반환합니다.
- 속도 제한 (Rate Limiting):
- API 호출 빈도를 제한하여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이나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 of Service)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5️⃣ 개인정보 보호 기술 (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PETs)
전자영수증에는 소비자의 구매 이력, 방문 상점 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가 오용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특별한 개인정보 보호 기술과 정책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 데이터 최소화 (Data Minimization):
- 영수증 발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집하고 저장합니다. 불필요한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합니다.
- 익명화/가명화 (Anonymization/Pseudonymization):
- 수집된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익명화)하거나, 특정 키를 통해서만 재식별 가능하도록 처리(가명화)하여 개인정보 유출 시의 위험을 줄입니다.
- 접근 로그 및 감사 (Access Logs & Auditing):
- 개인정보를 포함한 민감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접근 및 처리 내역을 기록하고 정기적으로 감사하여, 비정상적인 접근이나 오용 시도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Compliance):
-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CCPA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그리고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PIPA) 등 관련 법규 및 규제를 준수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이는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소비자의 개인정보 권리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556&kind=&sub_kind=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8-05) (1) | 2025.08.06 |
---|---|
[보안뉴스]알약, 2분기에만 랜섬웨어 5만8000여건 차단 (1) | 2025.08.05 |
[보안뉴스]공항시설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 | 2025.08.05 |
[보안뉴스]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발굴로 역량 강화...확인제도 설명회 개최 (2) | 2025.08.05 |
[보안뉴스]배경훈 장관, 백악관에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제안 (3)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