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 주간이슈]2025-08-04 ~ 2025-08-11 **Recent CVE Highlights: Critical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Patches (Last 7 Days)**

2025. 8. 11. 18:10·CVE
728x90
반응형

📑 최신 CVE 위협 동향 분석

최근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주요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들을 정리했습니다. CVE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잠재적 약점을 나타내는 경고 신호와 같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시스템과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1. 로컬 권한 상승 (Local Privilege Escalation)

💡 로컬 권한 상승이란?

시스템에 제한된 접근 권한을 가진 공격자가 허용된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제어 권한(예: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입니다.

  • CVE-2025-20696, CVE-2025-20697, CVE-2025-20698
    • 대상: DA(진단 앱) 및 Power HAL(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 내용: 코드 내 경계 검사(bounds check) 누락으로 인한 'Out-of-Bounds Write' 취약점입니다. 공격자는 의도된 메모리 영역을 벗어나 데이터를 기록하여 시스템의 중요 데이터를 덮어쓰고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 특징:
      • CVE-2025-20696: 물리적 접근 및 사용자 상호작용 필요.
      • CVE-2025-20697, CVE-2025-20698: 사용자 상호작용 불필요. 단, 공격자가 이미 '시스템(System)' 권한을 획득한 상태여야 함.
    • 패치 ID: ALPS09915215, ALPS09915681, ALPS09915400

2. 원격 코드 실행 (Remote Code Execution, RCE)

💡 원격 코드 실행이란?

공격자가 원격에서 대상 시스템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고 실행시켜 서버 전체를 장악할 수 있게 하는 심각한 공격입니다.

  • CVE-2025-54962
    • 대상: OpenPLC Runtime 웹서버 (버전 3 ~ 9cd8f1b)
    • 내용: 인증된 사용자가 .html, .svg 등 임의의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업로드된 파일은 /static URI를 통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 위협: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된 파일을 업로드하고, 이 파일에 접근하면 서버에서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3. 서비스 거부 (Denial-of-Service, DoS)

💡 서비스 거부 공격이란?

시스템에 과도한 트래픽이나 비정상적인 요청을 보내 시스템을 마비시켜 정상적인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만드는 공격입니다.

  • CVE-2025-48499
    • 대상: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복합기(MFP)
    • 내용: 특수하게 조작된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 또는 LPD(Line Printer Daemon) 패킷을 전송하여 DoS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구를 위해서는 복합기 재설정이 필요합니다.
  • CVE-2025-41691
    • 대상: CODESYS Control 런타임 시스템
    • 내용: 인증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통신 요청을 보내 'NULL 포인터 역참조'를 유발하여 시스템을 충돌시킬 수 있습니다.

4. 블루투스 보안 취약점

💡 블루투스 기술의 취약점을 이용해 원격에서 기기 제어 권한을 탈취하거나 무단으로 페어링을 시도하는 공격입니다. 특히 IoT 기기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CVE-2025-20700, CVE-2025-20701, CVE-2025-20702
    • 대상: Airoha 블루투스 오디오 SDK
    • 내용: 원격 권한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취약점들입니다.
      • CVE-2025-20700: 블루투스 LE GATT 서비스를 통해 RACE 프로토콜의 중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우회.
      • CVE-2025-20701: 사용자 동의 없이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를 페어링할 수 있는 가능성.
      • CVE-2025-20702: RACE 프로토콜에 대한 무단 접근.
    • 특징: 세 가지 모두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원격으로 악용될 수 있습니다.

5. 민감 정보 노출 (Sensitive Data Exposure)

💡 민감 정보 노출이란?

시스템의 설정 오류나 취약점으로 인해 개인정보, 인증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가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문제입니다.

  • CODESYS 및 Intelbras 관련 CVEs
    • CVE-2025-41658, CVE-2025-41659 (CODESYS): 기본 파일 권한 설정 오류로 인해 낮은 권한의 로컬 사용자가 민감한 파일에 접근 가능.
    • CVE-2025-8515 (Intelbras InControl): /v1/operador/ JSON 엔드포인트를 조작하여 정보 노출 가능.
    • CVE-2025-38739 (Dell Digital Delivery): 불충분하게 보호된 자격 증명으로 인해 원격의 미인증 공격자가 정보 탈취 가능.

6.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Cross-Site Scripting, XSS)

💡 XSS 공격이란?

공격자가 웹사이트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만드는 공격입니다. 쿠키 탈취, 악성 사이트 리디렉션 등에 악용됩니다.

  • 다양한 제품에서 발견된 XSS 취약점
    • CVE-2025-26065 (Intelbras 라우터): Wi-Fi 방문자 네트워크 이름을 통해 악성 스크립트 주입.
    • CVE-2025-51534 (OpenAtlas): 'Name' 필드에 스크립트 주입.
    • CVE-2025-8521 (givanz Vvveb): 'Add Type Handler' 조작을 통한 XSS.
    • CVE-2025-4599 (Liferay Portal): postMessage 기반 XSS 취약점.
    • CVE-2025-36605 (Dell Unity): 웹 페이지 생성 중 입력 값 처리 미흡으로 인한 XSS.

7. OS 명령어 삽입 (OS Command Injection)

💡 OS 명령어 삽입이란?

공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의 운영체제(OS) 명령어를 직접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치명적인 취약점입니다. 시스템 전체를 장악당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제품에서 발견된 OS 명령어 삽입 취약점
    • CVE-2025-36606, CVE-2025-36607 (Dell Unity): 인증된 공격자가 제한된 셸을 탈출하여 루트 권한으로 임의 OS 명령어 실행.
    • CVE-2025-34147 (Shenzhen Aitemi Wi-Fi 중계기): 미인증 원격 공격자가 기기 재부팅 시 루트 권한으로 명령어 주입.
    • CVE-2025-8628 ~ CVE-2025-8656 (Kenwood DMX958XR):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접근한 공격자가 루트 권한으로 코드 실행.
    • CVE-2025-46093, CVE-2025-43979, CVE-2025-43978: Eaton, FIRSTNUM, Jointelli 제품들에서 인증된 공격자가 루트 권한으로 OS 명령어 실행.

8. 경로 탐색 (Path Traversal)

💡 경로 탐색이란?

공격자가 파일 경로를 조작하여 접근이 제한된 상위 디렉터리의 파일이나 데이터에 접근하는 공격입니다. ../ 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여 보안을 우회합니다.

  • 다양한 제품에서 발견된 경로 탐색 취약점
    • CVE-2025-8516 (Kingdee Cloud): filePath 인자 조작을 통한 임의 파일 접근.
    • CVE-2025-46094 (LiquidFiles): 로컬 실행 파일 경로를 조작하여 디렉터리 탐색.
    • CVE-2025-52237 (SSCMS): /stl/actions/download?filePath 컴포넌트를 통한 디렉터리 탐색.
    • CVE-2025-51057 (Vedo Suite): /api_vedo/video/preview의 readfile() 함수를 악용하여 임의 파일 읽기 (LFI).

9.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취약점

  • CVE-2025-7050, CVE-2025-8313, CVE-2025-8315, CVE-2025-8294, CVE-2025-8295: 다양한 플러그인의 파라미터를 통한 저장형 XSS(Stored Cross-Site Scripting) 취약점.
  • CVE-2025-5061, CVE-2025-6207 (WP Import Export Lite 플러그인): 파일 유형 검증 누락으로 인한 임의 파일 업로드 취약점.

10. 소프트웨어 다운그레이드 및 정수 오버플로우

  • 소프트웨어 다운그레이드 (CVE-2025-8656)
    • 대상: Kenwood DMX958XR
    • 내용: 물리적으로 접근한 공격자가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이전의 취약한 버전으로 강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음.
  • 정수 오버플로우 (Integer Overflow)
    • 내용: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숫자 범위를 초과하는 값을 저장하려고 할 때 발생하며, 예기치 않은 동작, 서비스 거부, 코드 실행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
    • 대상: CVE-2025-54801 (Fiber), CVE-2025-54952 (ExecuTorch), CVE-2025-23323 등 (NVIDIA Triton Inference Server)

🔑 핵심 요약 및 대응 방안

이번 주 CVE 동향은 로컬 권한 상승부터 원격 코드 실행, 서비스 거부, 정보 노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유형의 취약점을 보여줍니다. 이는 보안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인 프로세스임을 상기시킵니다.

  • 정기적인 패치 적용: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안 패치를 신속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지속적인 정보 확인: NVD(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 제조사 보안 권고, 관련 뉴스 등을 통해 새로운 취약점 정보를 꾸준히 확인해야 합니다.
  • 방어적 시스템 구성: 불필요한 기능은 비활성화하고, 접근 제어를 강화하는 등 시스템을 안전하게 구성해야 합니다.

❓ FAQ (자주 묻는 질문)

Q. 제가 사용하는 시스템이 CVE의 영향을 받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먼저, 취약점이 보고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가 자신의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 후, 제조사 웹사이트나 보안 공지를 통해 패치 또는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즉시 적용하세요. 패치가 없다면, 취약한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임시 조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Q. 새로운 CVE 정보를 계속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미국 국립 취약점 데이터베이스(NVD), 각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보안 권고 페이지, 주요 사이버 보안 뉴스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알림이나 RSS 피드를 구독하면 새로운 취약점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Q. 왜 이렇게 많은 취약점이 계속 발견되나요?

A. 소프트웨어는 매우 복잡하며 완벽한 코드를 작성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가 발전하고 기능이 정교해짐에 따라 새로운 취약점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또한, 공격자들 역시 시스템의 약점을 찾고 악용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E 주간이슈]2025-08-11 ~ 2025-08-18 **Recent CVEs Unveiled: A Deep Dive into Linksys, OpenHarmony, and Beyond**  (3) 2025.08.18
[CVE 주간이슈]2025-07-28 ~ 2025-08-04 최근 7일간의 CVE 대규모 업데이트: 당신의 시스템은 안전한가요?  (5) 2025.08.04
[CVE 주간이슈]2025-07-23 ~ 2025-07-30 최근 7일간의 CVE 분석: 우리를 노리는 디지털 위협과 방어 전략  (4) 2025.07.30
[CVE 주간이슈]2025-07-22 ~ 2025-07-29 최근 7일간 발표된 CVE 분석: 취약점 동향과 대응 방안  (1) 2025.07.29
[CVE]2025-07-07 ~ 2025-07-14 NVD CVE 요약  (4) 2025.07.14
'C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VE 주간이슈]2025-08-11 ~ 2025-08-18 **Recent CVEs Unveiled: A Deep Dive into Linksys, OpenHarmony, and Beyond**
  • [CVE 주간이슈]2025-07-28 ~ 2025-08-04 최근 7일간의 CVE 대규모 업데이트: 당신의 시스템은 안전한가요?
  • [CVE 주간이슈]2025-07-23 ~ 2025-07-30 최근 7일간의 CVE 분석: 우리를 노리는 디지털 위협과 방어 전략
  • [CVE 주간이슈]2025-07-22 ~ 2025-07-29 최근 7일간 발표된 CVE 분석: 취약점 동향과 대응 방안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90)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773) N
      • CVE (10)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CVE 주간이슈]2025-08-04 ~ 2025-08-11 **Recent CVE Highlights: Critical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Patches (Last 7 Days)**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