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Erlang/OTP의 SSH 서버에서 발견된 RCE 취약점(CVE-2025-32433) 악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OT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방화벽 장비가 주요 공격 대상입니다. 해당 취약점을 통해 인증 없이 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하며, OTP 27.3.3, 26.2.5.11, 25.3.2.20 버전에서 패치가 배포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CVE-2025-32433 취약점: Erlang/OTP SSH 서버에서 발견된 치명적인 RCE 취약점
- 주요 공격 대상: 산업제어망(OT)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방화벽 장비 (전체 공격의 약 70%)
- 취약점 악용: 인증 없이 Erlang/OTP SSH 서비스에서 임의 코드 실행 가능
- 패치 버전: OTP 27.3.3, 26.2.5.11, 25.3.2.20
기술 세부 내용
1️⃣ Erlang/OTP
- Erlang:
- 동시성, 내결함성, 분산 시스템 구축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
- 주로 통신 시스템, 은행 시스템 등 고가용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됨
-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하며, 액터 모델을 기반으로 동시성을 구현
- OTP (Open Telecom Platform):
- Erlang으로 작성된 라이브러리, 툴, 디자인 원칙의 집합
- 견고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공
- 슈퍼바이저, 어플리케이션, 비헤이비어(genserver, genfsm, gen_event) 등 다양한 컴포넌트 포함
2️⃣ SSH (Secure Shell)
- 정의:
-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원격 시스템에 접근하고 관리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데이터 암호화, 인증, 무결성 검증 기능 제공
- 주요 기능:
- 암호화: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방지
- 인증: 패스워드, 공개 키 등 다양한 인증 방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
- 터널링: 포트 포워딩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안전하게 접근
- 일반적인 사용 사례:
- 원격 서버 관리, 파일 전송 (SFTP), 포트 포워딩 등
3️⃣ CVE-2025-32433
- 취약점 유형:
- 원격 코드 실행 (RCE: Remote Code Execution)
-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한 공격자가 인증 없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심각한 취약점
- 원인:
- Erlang/OTP SSH 서버의 특정 구현 결함으로 인해 발생
- 정확한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입력값 검증 미흡 또는 메모리 관리 오류 등이 원인일 가능성 높음
- 영향:
- 공격자가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음
- 데이터 유출, 시스템 파괴, 서비스 거부 (DoS) 공격 등 다양한 악성 행위 수행 가능
- 대응:
- 해당 취약점이 해결된 버전으로 Erlang/OTP 업그레이드 (OTP 27.3.3, 26.2.5.11, 25.3.2.20) ⬆️
- SSH 서버 접근 제어 강화 (IP 제한, 접근 통제 목록 설정)
- 침입 탐지 시스템 (IDS) 및 침입 방지 시스템 (IPS)을 통해 악성 트래픽 모니터링 및 차단
4️⃣ OT (Operational Technology) 네트워크
- 정의:
- 산업 운영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
-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 포함
- 특징:
- 높은 안정성 및 실시간 성능 요구
- IT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나, 최근 IT-OT 융합 추세
- 보안 취약점 노출 시 생산 중단, 장비 손상, 인명 피해 등 심각한 결과 초래 가능
- 보안 중요성:
- OT 네트워크는 전통적으로 폐쇄적인 환경으로 간주되었으나, 외부 연결 증가로 인해 사이버 공격에 취약해짐
- OT 환경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
- 보안 강화 방안:
- 네트워크 분리, 접근 제어, 보안 패치 적용, 이상 행위 탐지 등 IT 보안 기술 적용
- OT 환경에 특화된 보안 솔루션 도입 (OT 방화벽, 침입 탐지/방지 시스템)
- 보안 인력 양성 및 보안 문화 확산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744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블랙햇 2025, “아이덴티티 보안이 사이버 보안의 중심으로 부상” (0) | 2025.08.12 |
---|---|
[데일리시큐]가상화폐 지갑 정보 탈취 악성코드 ‘에피머’, 해킹된 워드프레스 사이트 통해 확산 (1) | 2025.08.12 |
[보안뉴스]EMP 위협 공동 대응 위해 민관 ‘맞손’ (3) | 2025.08.12 |
[보안뉴스]이통 3사 출자 펀드, AI 3대 강국 도약 투자 (0) | 2025.08.12 |
[보안뉴스]“이메일 파일 클릭하니 해킹”…北 연계 해킹 조직 ‘스카크러프트’, 한국 노린다 (0)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