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스 요약
국내 통신사 SK텔레콤과 일본 증권회사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안 사고는 보안 통제 미흡, 대응 체계 부족, 낮은 기술적 대응 수준, 보안 인식 부족, 보안 인력 부족 등 여러 가지 보안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핵심 포인트
- SK텔레콤: 수천만 명의 휴대폰 정보와 개인정보 유출, 내부 보안 통제 및 대응 체계 부족
- 일본 증권회사: 수조 원 규모의 증권 계좌 유출 및 주가조작 악용, 낮은 기술적 대응 수준(ID+PW 방식의 인증), 스미싱에 대한 보안 인식 부족, 보안 인력 부족
- 전반적으로 보안 투자 및 인력 확충의 필요성 대두
기술 세부 내용
1️⃣ ID+PW 방식의 인증 (ID and Password Authentication)
- 설명: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증 방식.
- 장점: 간편하고 구현이 쉬움.
- 단점: 비밀번호 유출 및 추측,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 키로깅(Keylogging) 등에 취약.
- 개선 방안:
- 다중 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도입: OTP(One-Time Password), 생체 인증, 이메일 인증 등 추가 인증 요소를 사용.
- 강력한 비밀번호 정책 시행: 최소 길이, 특수문자 포함, 주기적인 변경 등.
- 비밀번호 관리 솔루션 도입: 안전한 비밀번호 저장 및 관리.
2️⃣ 스미싱 (Smishing)
- 설명: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피싱(Phishing) 공격. 악성 링크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보내 사용자를 속여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
- 유형:
- 금융기관 사칭: 계좌 정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
- 택배 사칭: 배송 조회를 위장하여 악성 앱 설치 유도.
- 지인 사칭: 긴급한 상황을 가장하여 금전 요구.
- 예방법: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의 링크 클릭 금지.
- 금융기관이나 택배 회사는 개인정보를 문자로 요구하지 않음을 인지.
- 스미싱 탐지 앱 설치. ️
3️⃣ 보안 통제 (Security Control)
- 설명: 정보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절차, 기술적 조치 등을 포괄하는 개념.
- 유형:
- 관리적 통제: 보안 정책 수립, 교육, 감사 등.
- 기술적 통제: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접근 제어 시스템 등.
- 물리적 통제: 출입 통제, CCTV, 보안 경비 등.
- 목적: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확보.
4️⃣ 사고 대응 체계 (Incident Response System)
- 설명: 보안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
- 단계:
- 준비(Preparation): 사고 대응 계획 수립, 훈련.
- 식별(Identification): 사고 발생 여부 확인.
- 억제(Containment): 피해 확산 방지.
- 근절(Eradication): 원인 제거.
- 복구(Recovery): 정상 상태 복원.
- 교훈(Lessons Learned): 사고 분석 및 개선.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440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이혁중 CISO 스피커 참가기] 글로벌 무대서 본 사이버보안의 새로운 흐름…’GITEX ASIA’와 ‘GISEC Global’ (0) | 2025.05.27 |
---|---|
[데일리시큐]금융보안원, 2025년 전자금융 서비스 버그바운티 실시 (1) | 2025.05.27 |
[데일리시큐]맨디언트 “사이버 위협은 진화 중…클라우드·크리덴셜 탈취·북한 IT 인력까지” (0) | 2025.05.27 |
[데일리시큐]KISA-금융감독원, 민생침해 금융범죄 목적 스팸문자 차단 강화 (0) | 2025.05.26 |
[보안뉴스]사이버 보안 기업 취업하고 싶어? 27일 정보보호 취업박람회 개최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