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이통사 인증 ‘패스’ 앱 모방 피싱 증가에 누리랩, ”출처 불명 URL 절대 클릭 금지” 주의

2025. 9. 1. 11:30·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공공기관을 사칭한 문자와,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사이트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에스크유알엘(AskURL)’이 이러한 위협을 탐지하며, 보이스피싱·악성앱 설치 가능성까지 우려된다. 본 문서에서는 AskURL의 동작 원리, 피싱 시나리오, 보이스피싱 및 악성앱 위험, URL 분석 기술, 머신러닝 모델, 그리고 사용자가 방어할 수 있는 실전 방안까지 상세히 다룬다.

핵심 포인트

  • AskURL은 AI를 활용해 문자·링크를 실시간 분석해 피싱 여부를 판정한다.
  •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사이트는 공공기관 정보를 유인해 개인정보를 탈취한다.
  • 보이스피싱은 전화·음성 채널을 통해 사회공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 악성앱은 정식 앱처럼 보이지만 개인정보를 훔치거나 기기 제어를 한다.
  • URL 분석은 도메인, SSL, WHOIS, 콘텐츠 등 다양한 피처를 활용한다.
  • 머신러닝 모델(GBDT, DNN 등)이 다중 피처를 종합해 악성 여부를 결정한다.
  • 사용자는 출처 불명의 링크 클릭 금지, 메시지 송신자 확인, 보안 소프트웨어 사용 등을 통해 방어할 수 있다.
  • 정부는 디지털 서명, 인증서 정책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기술 세부 내용

1️⃣ AskURL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AskURL은 문자·URL을 수집해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플랫폼이다.
- 데이터 수집: 모바일 메시지(문자, 카카오톡, SMS), 이메일, 웹 트래픽에서 URL을 자동 수집.
- 전처리: URL 파싱(스킴, 도메인, 경로, 쿼리), DNS 조회(IP, TTL), WHOIS 정보 추출.
- 피처 엔지니어링:
- 도메인 피처: 도메인 나이, TLD, 레지스트라, 접미사, 도메인 평판(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 URL 구조 피처: 경로 길이, 쿼리 파라미터 수, 특수문자 사용, 암호화 여부(HTTPS).
- 콘텐츠 피처: 로딩된 페이지의 메타데이터, 스크립트, 이미지, 링크 수.
- 행동 피처: 클릭 패턴, 접속 빈도, 사용자 레이턴시.
- 모델링:
- GBDT(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 빠른 예측 속도와 해석 가능성.
- DNN(Deep Neural Network): 복잡한 비선형 관계 학습, 특히 이미지/텍스트 기반 피싱 탐지에 활용.
- 실시간 평가: 수집된 URL을 모델에 투입해 점수(0~1)를 부여, 일정 임계값 초과 시 알림 전송.
- 피드백 루프: 사용자 신고, 해시 기반 차단 목록 업데이트, 모델 재학습.

AskURL은 클라우드와 모바일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며, 사용자가 알 수 없는 링크를 클릭하기 전 경고창을 띄운다.

2️⃣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시나리오

PASS는 정부·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서비스 인증·정보 제공 앱이다.
- 피싱 목표: 사용자의 공공 ID, 주민등록번호, 은행계좌 정보 등 민감 데이터 유출.
- 시나리오:
1. 사칭 문자: "공공기관 인증센터"라고 표시된 문자와 함께 ‘https://www.pass-xxxxx.com’ 같은 URL 제공.
2. 피싱 사이트: 실제 PASS 앱의 로그인 페이지와 거의 동일하게 디자인된 가짜 사이트.
3. 피싱 로직: 사용자가 입력한 ID/비밀번호를 서버로 전송해 탈취.
4. 유연한 도메인: 사칭 도메인은 짧은 시간 동안 유효하게 등록하거나, 프리미엄 도메인으로 가짜 인증을 보이게 함.
- 피해 규모: 사용자가 재정 거래를 위해 PASS 앱을 이용하면 바로 돈이 이체되는 경우가 많다.

3️⃣ 공공기관 사칭과 사회공학

공공기관 사칭은 신뢰도를 활용한 사회공학 공격이다.
- 특징:
- 공식 로고·상표·기관명 포함.
- 긴급성(예: “안전 인증 필요”), 공식 문서 형식.
- 피해 방지:
- 공공기관의 공식 인증 도메인(공식 도메인 목록을 검증).
- 내부 교육(공식 문서와 실제 문서 차이).

4️⃣ 보이스피싱 (Voice Phishing)

보이스피싱은 전화·음성 채널을 통해 정보를 유출한다.
- 전술:
- 공공기관·은행 직원을 사칭, “안전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말씀해 주세요” 등.
- 긴급 상황(예: 범죄 신고, 세금 미납) 언급.
- 기술적 대응:
- 음성 인식 및 분석: 스크립트 일관성, 음성 합성(Voice Synthesis) 감지.
- 시그니처 기반: 반복되는 악성 음성 패턴 데이터베이스.
- 통화 기록 분석: 통화 시각, 출발지 번호, 통화 길이 패턴.

5️⃣ 악성앱 설치 위험

피싱 링크를 클릭하면 가짜 PASS 앱이 내려받아 설치된다.
- 악성 행위:
- 백그라운드에서 위치, 연락처, 사진 등을 수집.
- 기기 제어(키로거, 원격 조작).
- 모바일 결제 취소(앱 결제 API 호출).
- 위험 완화:
- 앱 서명: 디지털 서명 검증, 비공식 서명 차단.
- 앱 스토어 정책: Play 스토어, App Store에서 악성 앱 차단.
- 사용자 권한 최소화: 설치 시 권한 요청 최소화, 필요 시 차단.

6️⃣ URL 분석 기술

실시간 URL 분석은 피싱 탐지의 핵심이다.
- DNS 기반 분석:
- IP 범위 차단, PTR 레코드 일치 여부.
- SSL/TLS 분석:
- 인증서 체인 검증, 유효 기간, 서명 기관.
- WHOIS 분석:
- 등록자, 등록일, 도메인 수명.
- 콘텐츠 기반 분석:
- HTML 구조, JavaScript 난독화 여부.
- 이미지 OCR(텍스트 추출)와 스캔.
- 동적 분석:
- sandbox 환경에서 페이지 로드 후 행동 기록.

7️⃣ 머신러닝 모델 상세

AskURL과 같은 솔루션은 다양한 ML 모델을 결합한다.
- GBDT:
- 각 피처의 중요도를 제공, 해석 가능성.
- DNN:
- 다층 인공신경망으로 복합 피처 학습.
- 이미지/텍스트 피처를 함께 학습해 높은 정확도.
- 강화학습:
- 사용자 피드백(정확/부정)을 이용해 모델 업데이트.
- 컨테이너 기반 모델:
- 가벼운 모델을 모바일 기기에 배포해 오프라인 판별 가능.

8️⃣ 사용자를 위한 실전 방어

  • 출처 불명의 링크 금지:
    • 문자·이메일에서 URL 미리보기, 도메인 검증.
  • 보안 소프트웨어:
    • 모바일 보안 앱(360, Kaspersky, Avast) 설치, 실시간 차단.
  • 정기적 업데이트:
    • OS, 앱, 보안 패치 최신화.
  • 2FA(2단계 인증):
    • 인증서 기반 MFA, OTP, 인증 앱 활용.
  • 디지털 서명 교육:
    • 앱 서명 검증, 인증서 체인 확인 방법 교육.

9️⃣ 규제·정책 측면

  • 정부의 디지털 서명 정책:
    • 전자문서 인증서, 공인인증서 사용 강화.
  • 불법 콘텐츠 차단:
    • 정부가 운영하는 URL 블랙리스트, 사이버 범죄 신고 시스템.
  • 정보보호법:
    • 개인정보 유출 시 법적 책임, 과징금.
  • 공공기관 내부 보안 프로세스:
    • 인증서 관리, 보안 교육 프로그램 운영.

미래 동향 및 도전 과제

  • 딥페이크 음성:
    • 보이스피싱에서 자연스러운 음성 합성이 점점 정교해짐.
  • 멀티모달 학습:
    • 이미지·텍스트·음성·네트워크 특징을 동시에 학습해 더 높은 탐지율 도달.
  • Federated Learning:
    •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모바일 기기에서 모델 학습 후 중앙에 업데이트.
  • Zero-Day 피싱:
    • 새로운 도메인, SSL 인증서가 즉시 발급되어 탐지 사이에 시간 차 발생.

위 내용을 통해 보이스피싱·악성앱, 그리고 AskURL 같은 AI 기반 피싱 탐지 솔루션이 어떻게 작동하며, 사용자가 실제로 방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치를 이해할 수 있다. 공공기관 사칭 문자와 PASS 앱 모방 피싱은 현재 가장 급증하는 위협이므로, 조직과 개인 모두 적극적인 보안 인식이 필요하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960&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생활밀접 사이버침해 급증에도 신고는 여전히 미적대...“직권조사 도입 등 대책 공론화 필요”  (1) 2025.09.01
[보안뉴스][SKT 해킹 사태] 역대 최대 규모 1347억원 과징금 부과 배경은?... 법조계 의견 들어보니  (1) 2025.09.01
[보안뉴스]특허청·카이스트·포스텍, ‘청소년 발명인재’ 육성 맞손  (1) 2025.08.28
[보안뉴스][SKT 해킹사태] SKT, 역대 최대 과징금 1347억원 ‘철퇴’...CPO 권한·ISMS-P 범위 확대 명령  (4) 2025.08.28
[보안뉴스]2분기 랜섬웨어 활동 일시 소강...‘킬린’ 그룹 도약  (0) 2025.08.27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생활밀접 사이버침해 급증에도 신고는 여전히 미적대...“직권조사 도입 등 대책 공론화 필요”
  • [보안뉴스][SKT 해킹 사태] 역대 최대 규모 1347억원 과징금 부과 배경은?... 법조계 의견 들어보니
  • [보안뉴스]특허청·카이스트·포스텍, ‘청소년 발명인재’ 육성 맞손
  • [보안뉴스][SKT 해킹사태] SKT, 역대 최대 과징금 1347억원 ‘철퇴’...CPO 권한·ISMS-P 범위 확대 명령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77)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760) N
      • CVE (10)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보안뉴스]이통사 인증 ‘패스’ 앱 모방 피싱 증가에 누리랩, ”출처 불명 URL 절대 클릭 금지” 주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