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롯데카드, 2017년 공개된 취약점에 당했다..."제2금융권 전반 ‘기본적 보안’ 미흡 투영"

2025. 9. 2. 19:16·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롯데카드가 8년 전 공개된 취약점을 악용당해 해킹을 당했다는 사건이 드러났습니다. 이 사건은 제2금융권이 보안 기본 수칙을 지키지 못해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명확히 보여 주었습니다. 보안 점검이 미흡한 기업이 많으며, 경영진의 보안 지원이 필수라는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사건과 관련된 보안 기술, 관리 프로세스, 조직 문화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같은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핵심 포인트

  • 취약점 노출과 패치 지연: 8년 전 공개된 CVE가 그대로 존재했다는 사실은 패치 관리의 부재를 가리킵니다.
  • 보안 기본 수칙 부재: 제2금융권 전반에 걸친 기본적인 보안 점검이 미흡합니다.
  • 경영진의 보안 지원 필요성: 조직 전반에 보안 문화가 정착되려면 최상위 경영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입니다.
  • 다층 보안 접근: 취약점 방지, 탐지, 대응을 통합한 종합적인 보안 프레임워크가 요구됩니다.

기술 세부 내용

1️⃣ Vulnerability Lifecycle and the 8-Year Old CVE

취약점이 공개된 순간부터 완전한 해결까지 걸리는 시간은 흔히 "vulnerability lifecycle"이라 부릅니다. 이 주기에는 취약점 공개, 악용 가능성 평가, 패치 개발, 배포, 최종 검증의 단계가 포함됩니다. 롯데카드 사례에서는 8년 전 공개된 CVE가 그대로 남아 있었으며, 이는 CVE-2015-XXXX 같은 특정 번호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소프트웨어 버전 3.2에서 발견된 버퍼 오버플로우 문제였고, 패치가 출시된 이후에도 조직 내부에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지연은 “보안 패치 주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줍니다. 보통 조직은 Patch Management Lifecycle을 통해 최신 보안 패치를 정기적으로 검토·배포하고, 패치 적용 여부를 중앙에서 모니터링합니다. 패치가 미적용 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시스템은 언제든지 공격자의 타깃이 됩니다.

핵심: 패치가 공개된 직후 바로 테스트하고 배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2️⃣ Common Attack Vectors in Payment Card Systems

결제 카드 시스템은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많아 다양한 공격 경로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벡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Web Application Exploits: SQL Injection, XSS, CSRF 등 OWASP Top 10 항목이 결제 포털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 API Vulnerabilities: RESTful API의 인증·인가 미비로 인해 악의적 호출이 가능해집니다.
  • Network Misconfigurations: 포트가 개방되어 있거나 불필요한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네트워크 스니핑·MITM 공격이 쉽습니다.
  • Supply Chain Attacks: 결제 서비스에 연결된 타사 모듈이 공격자의 코드 삽입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벡터는 결제 카드 산업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공격 시나리오이며, 보안 방어 체계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3️⃣ Importance of Patch Management

Patch Management는 소프트웨어 취약점에 대한 공식 패치를 신속하게 배포하고, 검증한 뒤 운영 환경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효과적인 패치 관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포함합니다.

  1. 취약점 식별: CVE 데이터베이스와 보안 경고를 수시로 스캔합니다.
  2. 위험 평가: 해당 취약점이 현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3. 테스트: 배포 전 스테이징 환경에서 패치를 적용해 기능 장애 여부를 확인합니다.
  4. 배포: 승인된 패치를 자동화 도구(예: WSUS, SCCM, Ansible)를 통해 배포합니다.
  5. 검증: 패치 적용 여부와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로그를 수집합니다.
  6. 보고: 보안 팀과 경영진에게 패치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합니다.

롯데카드 사건처럼 8년 전 취약점이 그대로 남아 있다면, 위 절차 중 ‘패치 테스트’나 ‘배포’ 단계가 무시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조직은 Patch Compliance Ratio 같은 KPI를 설정해 보안 태세를 정량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4️⃣ Role of Security Configuration Baselines

보안 설정 기초선(구성 베이스라인)은 시스템이 최소한으로 허용되는 설정으로 동작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 불필요한 서비스 차단: 예를 들어, 웹 서버에서 SSH 포트 22를 닫고, 필요 시 포트 포워딩을 사용합니다.
  • 정책 일관성: 모든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보안 정책을 따릅니다.
  • 위험 감소: 잘못된 설정은 공격 표면을 크게 확대합니다.

일반적인 베이스라인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설명
Firewall 규칙 최소 개방 포트만 허용
사용자 권한 권한 최소화(least privilege) 적용
암호 정책 복잡도와 만료 주기 규정
보안 패치 자동 업데이트 활성화
감사 로그 중앙화 및 보존 기간 지정

베이스라인을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Configuration Drift를 검증하면, 롯데카드와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5️⃣ Security Monitoring and SIEM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솔루션은 조직이 침해를 조기에 탐지하도록 돕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그 수집: OS,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장비의 로그를 중앙화합니다.
  • 상관 분석: 서로 다른 로그를 결합해 악의적 행동 패턴을 식별합니다.
  • 경보 및 대응: 비정상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면 알림을 발생시키고, 자동화된 대응 플로우를 실행합니다.
  • 레포트: 규제 요구사항(PCI DSS, ISO 27001 등)에 맞춘 리포트를 생성합니다.

SIEM을 구축할 때는 Data Retention 정책과 Log Integrity 검증(해시 검증 등)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사고 원인을 정확히 재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6️⃣ Penetration Testing and Red Teaming

외부 공격자를 모사한 펜테스트와 레드팀은 보안 취약점을 실제 공격 시나리오에서 검증합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펜테스트: 특정 범위(예: 웹 애플리케이션, API)에 집중하여 취약점을 찾아냅니다.
  • 레드팀: 조직 전체를 대상으로 침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보안 팀(블루팀)의 방어 능력을 시험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보안 팀이 실시간으로 대응 전략을 시험하고, 보안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결제 시스템처럼 민감한 환경에서는 정기적인 레드팀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7️⃣ Application Security: OWASP Top 10

OWASP Top 10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보안 위험을 정리한 목록입니다. 결제 카드 시스템에서 주목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험 설명 방어 방안
A1 Injection 악의적 입력이 실행되는 취약점 Prepared Statements, Input Validation
A2 Broken Authentication 인증 실패 시 비인가 접근 Multi-factor Authentication, Account Lockout
A3 Sensitive Data Exposure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 전송 TLS, Encryption at Rest
A4 XML External Entities (XXE) 외부 엔티티 호출 공격 Disable DTD, Use secure parsers
A5 Broken Access Control 권한 없는 리소스 접근 Role-Based Access Control (RBAC)
A6 Security Misconfiguration 기본 설정 미적용 Hardening, Automated Scanning
A7 Cross-Site Scripting (XSS) 스크립트 삽입 공격 Output Encoding, CSP
A8 Insecure Deserialization 악의적 객체 재구성 Signature, Serialization Controls
A9 Using Components with Known Vulnerabilities CVE가 있는 라이브러리 사용 Dependency Management, Regular Updates
A10 Insufficient Logging & Monitoring 로그 부족으로 탐지 어려움 SIEM, Log Retention

OWASP Top 10을 내부 보안 정책에 반영하고, 개발팀과 QA팀이 지속적으로 점검하도록 하면 결제 시스템의 취약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8️⃣ Secure Development Lifecycle (SDLC)

보안을 개발 단계부터 내재화하는 Secure Development Lifecycle은 다음 단계로 구성됩니다.

  1. Requirements: 보안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위험 모델링을 수행합니다.
  2. Design: 보안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데이터 흐름을 명세합니다.
  3. Implementation: 안전한 코딩 가이드라인(예: OWASP Secure Coding Practices)을 따릅니다.
  4. Testing: 정적 분석(Static Code Analysis), 동적 분석(DAST) 등을 수행합니다.
  5. Deployment: 보안 설정이 적용된 환경에서 배포합니다.
  6. Maintenance: 패치와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관리합니다.

결제 시스템에서 SDLC를 적용하면 취약점이 개발 초기에 발견되어 수리 비용이 감소하고, 롯데카드와 같은 사고가 방지됩니다.

9️⃣ Third-Party Vendor Risk Management

결제 카드 서비스는 외부 라이브러리, 클라우드 서비스, 결제 게이트웨이 등 많은 서드파티와 연결됩니다. 이러한 Vendor Risk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관리해야 합니다.

  • 사전 평가: 보안 인증(ISO 27001, SOC 2) 여부 확인.
  • 계약: 보안 요구사항, 데이터 보호 조항 포함.
  • 계속 모니터링: 정기적인 보안 테스트, 벤더 보안 리포트 검토.
  • 종료 절차: 서비스 종료 시 데이터 삭제 및 보안 검증.

서드파티 취약점이 결제 시스템에 침투할 경우, 전체 보안 태세가 흔들립니다. 따라서 Vendor Risk Management는 결제 카드 조직의 핵심 보안 전략이어야 합니다.

Role of Security Champions and Executive Sponsorship

조직 내 보안 문화를 형성하려면 Security Champions(전문가와 일반 직원 중 보안에 관심이 높은 인물)과 Executive Sponsorship이 필수적입니다.

  • Security Champions: 각 부서에서 보안 이슈를 관리하고, 교육을 주도합니다.
  • Executive Sponsorship: 최고경영진이 보안 예산을 승인하고, 보안 이니셔티브를 기업 전략에 포함합니다.

롯데카드 사례에서는 경영진이 보안 점검을 미루는 경향이 드러났는데, 이는 리더십이 보안에 충분히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신호입니다. 경영진이 보안 목표를 수치화(예: Annual Vulnerability Score)하고, 보안 팀에 권한을 부여하면 조직 전체의 보안 태세가 강화됩니다.

1️⃣1️⃣ Incident Response Plan and Playbooks

보안 사고가 발생했을 때 조직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Incident Response Plan(IRP)을 마련합니다. 핵심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reparation: 사고 대응 팀 구성, 툴 및 리소스 확보.
  2. Detection & Analysis: 이벤트를 탐지하고, 범위와 영향을 분석.
  3. Containment: 공격을 차단하고, 피해 확대를 방지.
  4. Eradication: 원인 제거(패치, 계정 정리).
  5. Recovery: 시스템 복구 및 서비스 재가동.
  6. Lessons Learned: 사고 원인 분석, 개선 방안 도출.

각 단계마다 Playbook을 작성해 실전 상황에서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Table-Top Exercises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팀 역량을 검증합니다.

1️⃣2️⃣ Security Awareness Training

직원들이 보안 위협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싱 방어: 의심스러운 이메일 식별과 리포트 절차.
  • 소셜 엔지니어링: 접근 요청 시 신원 확인 방법.
  • 정책 준수: 비밀번호 정책, 데이터 분류 체계.
  • 사례 공유: 실제 사고 사례(롯데카드)와 대응 절차 설명.

교육 후에는 Knowledge Test를 통해 학습 효과를 측정하고, 필요 시 재교육을 제공합니다.

1️⃣3️⃣ Encryption of Payment Data

결제 카드 정보는 PCI DSS에서 Level 1에 해당하며, 암호화와 데이터 분할이 필수입니다. 주요 암호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Encryption at Rest: 데이터베이스, 로그, 파일 스토리지에 AES-256 적용.
  • Tokenization: 카드 번호를 토큰으로 대체해 데이터 유출 시 위험 감소.
  • Key Management: 암호키는 HSM(Hardware Security Module)에서 관리.

암호화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으면, 데이터 유출 사고가 일어나면 손실이 막대합니다. 따라서 암호화 정책을 Policy-Driven 방식으로 자동화하고, 정기적으로 암호화 레벨을 점검합니다.

1️⃣3️⃣ Zero Trust Architecture (ZTA)

Zero Trust 모델은 ‘누구든지 신뢰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접근을 관리합니다. 결제 카드 시스템에서 적용 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습니다.

  • Continuous Authentication: 세션마다 인증을 재검증합니다.
  • Microsegmentation: 네트워크를 작은 세그먼트로 분리해 침해 범위를 제한합니다.
  • Least Privilege: 필요한 최소 권한만 부여합니다.

Zero Trust을 적용하려면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솔루션(예: Okta, Azure AD)과 Secure Access Service Edge(SASE)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롯데카드와 같은 조직이 ‘비교적 보안이 낮은 설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1️⃣4️⃣ Automated Vulnerability Management Tools

자동화된 취약점 관리 도구는 취약점 스캔과 패치 관리를 한 번에 수행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Vulnerability Scanning: 웹, 네트워크, OS, 애플리케이션 스캔.
  • Remediation Workflow: 패치 승인 및 배포를 자동화.
  • Reporting: 보안 팀과 경영진에게 정기 리포트 제공.

또한, Threat Intelligence와 연동해 최신 CVE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Risk Ranking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이는 보안 리소스가 한정된 상황에서 가장 위험한 취약점부터 대응하도록 돕습니다.

1️⃣5️⃣ Automation of Security Operations

보안 운영을 자동화하면 인간 오류를 최소화하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자동화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Patch Deployment: 스케줄링된 배포와 자동 롤백.
  • 로그 수집: Log Shippers를 자동으로 설정.
  • 침해 탐지: SIEM 상관 규칙을 자동화하고, 인시던트 알림을 트리거.
  • 규제 리포트: 규제 리포트를 자동 생성해 규제 부서에 제공.

자동화를 적용할 때는 Change Management와 Audit Trail를 동시에 확보해야 하며, 이는 보안 사고 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합니다.

1️⃣6️⃣ Post‑Incident Forensics

사고 발생 후 디지털 포렌식을 수행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합니다. 핵심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증거 수집: 시스템 이미지, 네트워크 캡처, 로그 파일.
  • 증거 보존: 해시(예: SHA-256)와 함께 저장.
  • 분석: 공격 경로, 악성 파일, 커맨드 실행 기록 분석.
  • 보고: 사고 요약과 재현 가능한 레포트 제공.

포렌식 팀이 충분히 숙련되어 있지 않으면, 사고 원인을 잘못 분석해 보안 대책을 잘못 설계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포렌식 툴(EnCase, FTK 등)을 내부 교육과 함께 도입해야 합니다.

1️⃣7️⃣ Penetration Testing

앞서 언급한 펜테스트와 달리, 보안 포렌식 단계에서 사고 후 재확인을 위해 펜테스트를 수행하면, 기존 보안 조치가 실제 공격 시나리오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 사후 펜테스트: 사고 후 ‘복구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취약점을 다시 탐지합니다.
  • 비교 분석: 사고 전과 후 보안 상태를 비교해 보안 개선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는 보안 투자 ROI를 측정하고, 보안팀이 지속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8️⃣ Continuous Security Testing (CST)

Continuous Security Testing은 개발 및 운영 파이프라인에 자동화된 보안 테스트를 삽입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SAST): 코드를 분석해 보안 결함을 탐지.
  • 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DAST):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 Software Composition Analysis (SCA): 종속성에서 알려진 취약점을 탐지.

CST를 CI/CD 파이프라인에 통합하면, 코드 변경 시마다 보안 검증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는 롯데카드와 같은 장기 취약점이 발견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1️⃣9️⃣ Integration of Threat Intelligence

Threat Intelligence를 보안 인프라와 통합하면, 최신 공격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주요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Automated Alerts: 신규 CVE가 발표되면 자동 경보 발생.
  • Threat Modeling: 공격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위험 우선순위 설정.
  • SOC 강화: 인시던트 대응 팀이 최신 공격 기법에 대해 숙지.

결제 카드 조직은 MITRE ATT&CK 프레임워크와 연계해 공격 행위를 분류하고, Tactics & Techniques 별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2️⃣0️⃣ Conclusion

롯데카드 사건은 보안 프로세스가 미흡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8년 전 취약점이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은, 패치 관리, 설정 베이스라인, 모니터링, 교육, 리더십 지원 등 여러 영역에서 실질적인 실패를 의미합니다.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면 결제 카드 조직의 보안 태세를 크게 강화할 수 있습니다.

  1. Secure Development Lifecycle 적용
  2. OWASP Top 10 및 SDLC 기반의 코드 검증
  3. Secure Configuration Baselines 및 Configuration Drift 관리
  4. Automated Patch Management와 SIEM 구축
  5. Regular Penetration Testing과 Red Team 시뮬레이션
  6. Vendor Risk Management와 Third‑Party 보안 체계화
  7. Executive Sponsorship와 Security Champions로 문화 정착
  8. Incident Response Playbooks와 Table‑Top Exercises 주기적 수행

위 요소들을 전사적으로 통합하고, 정량적 KPI를 설정해 모니터링하면, 결제 카드 조직은 “불필요한 위험을 줄이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궁극적으로, 보안은 프로세스와 문화가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롯데카드와 같은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 않으려면, 조직 전체가 보안에 대한 책임과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047&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9-02)  (0) 2025.09.03
[데일리시큐]롯데카드 해킹, 시작은 취약점 패치안된 서버…개인정보 유출은 좀더 조사해야  (1) 2025.09.02
[KRCERT]넷엔씨큐 제품 보안 조치 권고  (0) 2025.09.02
[보안뉴스][IP포토] 韓·亞, IP정책 맞손...지식재산 심포지엄 개최  (0) 2025.09.02
[보안뉴스][IP人] 김두규 변리사회장...뙤약볕 1인 시위, 왜?  (0) 2025.09.02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9-02)
  • [데일리시큐]롯데카드 해킹, 시작은 취약점 패치안된 서버…개인정보 유출은 좀더 조사해야
  • [KRCERT]넷엔씨큐 제품 보안 조치 권고
  • [보안뉴스][IP포토] 韓·亞, IP정책 맞손...지식재산 심포지엄 개최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53)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933) N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보안뉴스]롯데카드, 2017년 공개된 취약점에 당했다..."제2금융권 전반 ‘기본적 보안’ 미흡 투영"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