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2026년 예산안 76조 4,426억원 규모로 AI·드론 기반 재난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재해위험지역 정비와 재난대책비를 대폭 증액해 피해 예방·복구 지원을 확대합니다.
핵심 포인트
- 대규모 예산 확정: 2026년 예산이 76조 4,426억원으로 편성, AI·드론 기반 재난 대응에 집중
- 첨단기술 도입: AI·드론을 활용한 실시간 재난 감시·대응 체계 구축
- 재해위험지역 정비 강화: 재해 위험지역 정비·재난대책비 증액으로 피해 예방·복구 역량 확대
기술 세부 내용
1️⃣ AI‑Based Disaster Response System
- 데이터 수집: 위성, 기상관측소, IoT 센서,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소스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 AI 분석: 머신러닝 모델이 기상 패턴·지형·인프라 상태를 종합해 재난 가능성을 예측
- 경보 및 의사결정 지원: 예측 결과를 시각화해 정부·지자체에 즉시 전달, 대응 시나리오 자동 제시
- 피드백 루프: 현장 대응 결과를 다시 모델에 학습시켜 정확도 지속 개선
2️⃣ Drone‑Based Disaster Monitoring & Response
- 사전 준비: 무인 항공기(드론) 사양 선정(내구성, 카메라 해상도, 센서 종류), 비행 경로 및 비행 계획 승인
- 현장 투입: 재난 현장에 빠르게 착륙·비행, 고해상 영상·열화상, 대기질 센서 데이터 수집
- 자율 운용: AI 비행 제어 알고리즘이 장애물 회피·목표물 추적·데이터 자동 전송을 수행
- 통합 관리: 중앙 통제센터에서 실시간 데이터 흐름을 모니터링, 구조·소방·응급팀에 실시간 정보 제공
- 후속 처리: 수집된 데이터를 GIS에 통합해 피해 규모를 정량화, 복구 계획 수립 지원
이 두 기술은 재난 대응 체계의 반응 속도와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향후 지속 가능한 AI·드론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057&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Oracle 제품 사용 주의 권고 (0) | 2025.09.03 |
---|---|
[데일리시큐][크래프톤-보안기고] 혁신과 규제 속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 (0) | 2025.09.03 |
[보안뉴스]EU 진출 기업 80%, 규제 준수 중요성 알지만 실질적 대응 난항 (0) | 2025.09.03 |
[데일리시큐]SGI서울보증·웰컴금융그룹·롯데카드 등 연이은 금융권 침해사고…긴급 점검해야 할 부분은? (0) | 2025.09.03 |
[보안뉴스]ETRI, 지능형 감시 국제대회 세계 1위...스마트시티 핵심 기술력 입증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