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국회 AI 포럼에서 개최된 “차세대 AI 기술과 치안 서비스” 세미나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래 치안 서비스 발전 방향이 논의됐다.
핵심 포인트
- AI 기반 CCTV 영상 분석으로 실시간 위협 탐지
- 예측형 치안(predictive policing) 모델로 범죄 발생 확률 사전 예측
- AI 주도 사이버 위협 탐지·자동 대응 시스템
기술 세부 내용
1️⃣ AI‑Powered CCTV Video Analytics
- 목적: 실시간 범죄·위험 상황 감지
- 단계
1️⃣ 카메라 네트워크 → 2️⃣ 프레임 전처리 → 3️⃣ CNN(예: YOLOv5) 인퍼런스 → 4️⃣ 이상치 점수 부여 → 5️⃣ 경보 전송 - 에지 컴퓨팅: MobileNetV2 같은 경량 모델을 로컬에 배포해 지연 최소화.
- 프라이버시: 얼굴 익명화, 데이터 보존 정책 준수.
2️⃣ Predictive Policing with Machine Learning
- 목적: 범죄 발생 가능 지역·시간 예측으로 자원 배치 최적화
- 단계
1️⃣ GIS, 911 호출, CCTV 로그 통합 → 2️⃣ 피처 엔지니어링(시간, 날씨, 인구밀도) → 3️⃣ Random Forest/GBM 모델 학습 → 4️⃣ 교차검증 → 5️⃣ 도구(대시보드) 배포 - 윤리: 편향 감소, SHAP 값으로 설명 가능성 확보, 투명성 보장.
3️⃣ AI‑Based Cyber Threat Detection & Automated Response
- 목적: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신속한 위협 탐지 및 대응
- 단계
1️⃣ 패킷 캡처 → 2️⃣ 특징 추출(NetFlow, 패킷 내용) → 3️⃣ 비지도 이상치 탐지(Isolation Forest, Autoencoder) → 4️⃣ 위협 분류 → 5️⃣ 자동 격리(방화벽 규칙, 엔드포인트 차단) + 인간 검토 - 통합: SIEM 플랫폼, ETRI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 R&D 결과와 연계.
이 세 가지 핵심 기술은 AI를 통해 치안 서비스의 신속성, 정확성, 예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271&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일부 SW 제품 사용 주의 권고 (0) | 2025.09.16 |
---|---|
[보안뉴스]NIA-SK브로드밴드,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활용 혁신 아이디어 찾는다 (0) | 2025.09.16 |
[보안뉴스]해양레저 필수 앱 ‘안전해(海)’, 더 똑똑해진 새 기능들로 돌아오다! (0) | 2025.09.16 |
[보안뉴스]추락·끼임·질식·외국인 등 4대 사망사고... AI로 고위험사업장 집중 관리 (1) | 2025.09.16 |
[보안뉴스]이해민 의원, ‘공공 SW 적정대가 현실화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