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이슈
[보안뉴스]네이버·토스·카뱅 앱으로 모바일 신분증 발급된다
레부긔
2025. 7. 23. 17:01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행정안전부가 모바일 신분증을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 등 민간 앱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 KB국민은행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오픈 행사를 통해 정식 서비스 시작을 알렸습니다.
핵심 포인트
- 모바일 신분증 민간 앱 발급 개시
-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를 통해 발급 가능
- 삼성전자, KB국민은행 등도 참여
- 모바일 신분증 활용 확대로 편의성 증대 예상
기술 세부 내용
1️⃣ 모바일 신분증 (Mobile ID)
- 정부가 발행하는 디지털 신분증으로,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실물 신분증처럼 사용 가능.
-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분산ID(DID) 기술을 활용하여 신원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개인정보 자기 주권을 강화.
-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기능(Selective Disclosure)을 지원.
- 신분증 진위 확인을 위한 전자서명 기능 탑재.
2️⃣ 분산ID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 기관 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정보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증명 시스템.
- 사용자는 개인키(Private Key)를 소유하고, 공개키(Public Key)는 블록체인에 등록하여 신원 증명을 위한 암호화 및 검증 과정을 수행.
- 중앙 기관의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 위험 감소.
-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개인정보보호 강화.
3️⃣ 블록체인 (Blockchain)
-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의 한 종류로,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
- 거래 내역을 암호화된 블록으로 연결하고, 모든 참여자가 공유하여 투명성과 안전성을 확보.
- 모바일 신분증의 경우,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신원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
4️⃣ 전자서명 (Digital Signature)
-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암호화 기술.
- 개인키로 전자문서에 서명하고, 공개키로 서명을 검증하여 서명자의 신원과 문서의 변경 여부를 확인.
- 모바일 신분증의 경우, 전자서명 기능을 통해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고,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325&kind=&sub_kin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