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이슈
[보안뉴스]페이스북 사칭 광고, 얼굴 인식으로 잡는다...내 프로필 사진 정보 가져가 비교한다고?
레부긔
2025. 5. 29. 15:01
728x90
반응형
뉴스 요약
메타(Meta)는 유명인 사칭 광고로 인한 사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광고 차단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해당 기술의 국내 출시 전 사전적정성 검토를 진행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유명인 사칭 광고 (ex. 이재용 코인, 홍진경 투자 사기) ➡️ 심각한 사회 문제 야기
- 메타, 얼굴 인식 기술 기반 광고 차단 기술 개발 ➡️ 사칭 광고 차단 및 피해 예방 목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메타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사전적정성 검토 진행 ➡️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준수 여부 확인
기술 세부 내용
1️⃣ Face Recognition Technology (얼굴 인식 기술)
- 메타가 개발한 이 기술은 광고에 사용된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인물이 광고에서 주장하는 인물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명인의 얼굴 정보와 비교합니다.
- 높은 정확도로 사칭 광고를 식별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실시간 분석을 통해 새로운 사칭 광고에도 신속하게 대응 가능합니다.
2️⃣ Proactive Ad Filtering (사전 예방적 광고 필터링)
- 얼굴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칭 광고가 플랫폼에 게시되기 전에 차단합니다.
- 사용자들이 사기 광고에 노출될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기존의 사후 대응 방식보다 효율적인 피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3️⃣ Privacy Protection Measures (개인정보 보호 조치)
- 메타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사전적정성 검토를 받았습니다.
- 이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 얼굴 인식 기술 사용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마련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얼굴 정보 저장 및 활용 방식, 데이터 보안, 사용자 동의 절차 등이 검토 대상이었을 것입니다.
4️⃣ Impact and Future Development (영향 및 향후 개발)
- 이 기술은 온라인 사기 광고 문제 해결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특히 유명인 사칭 광고로 인한 금전적 피해 및 명예훼손 방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향후 더욱 정교한 사칭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을 이용한 사칭 광고 탐지 기술 개발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456&kind=&sub_kin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