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년 보안·디지털 전략 이슈 요약
(주제별 정리, 핵심 이슈를 앞에 두고 연관 정보를 한 눈에 보기 쉽도록 구성)
1. 국가 디지털 안보 위기와 대응
1‑1. 국정자원 본부 마비 사태
- 사건 개요 – 7월 25일 국정자원 본부(대전) 서버 정지로 정부24, 온‑나라 등 70여 개 공공기관 사이트가 동시에 마비.
- 핵심 원인 – 대전본원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및 본원 전력/방화벽 장애.
- 정부 대응 –
- 대전본원 재가동과 동시에 대구·광주 세 센터를 활용해 재배치.
- 대안 – 대전 의존성 해소를 위한 분산 인프라 구축 검토(분산형 클라우드, 중복 전력망 등).
1‑2. 보안 점검 및 규제 샌드박스
- 3만개 기업 긴급 보안 점검 요청 – IT 자산, 접근권, 암호화, 네트워크 취약성 4대 영역을 CEO 서명 필수로 요청(공공·민간 협업).
- 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 – 생활밀착형 스마트 기술(모빌리티, 스마트시티, 범죄예방)을 활용해 민생경제 활성화.
- IP중개사 인증 – 특허·상표 매매·라이선싱 투명성 확보를 위해 11월 첫 검정 시행.
1‑3. 디지털 안보 전략에 대한 학계·실무 논의
- 김정덕 교수 연재 – 각자도생 시대의 한국 디지털 안보 전략을 실생활 비유와 함께 해석.
- 데이터 보호법 개정 – 10월 2일 시행 예정, 구글·메타·오픈AI 등 16개 해외 기업에 국내 법인 대리인 지정 권고.
2. 네트워크·클라우드 장비 취약점과 패치
2‑1. 시스코 제품 보안 업데이트
- 보안 취약점 –
- SNMP 루트 권한 코드 실행 (CVE‑2025‑20352)
- VPN 웹 서버 원격 코드 실행 및 인증 우회 (CVE‑2025‑20333, 20362, 20363)
- 권고 – 영향받는 IOS XE, ASA, FTD 버전을 사용 중인 고객은 즉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2‑2. Cisco IOS XE 취약점 (SNMP)와 VPN RCE
- CVE‑2025‑20352 – SNMP 루트 권한으로 임의 코드 실행.
- CVE‑2025‑20333, 20362, 20363 – VPN 웹 서버에서 원격 코드 실행 및 인증 우회.
- 대응 – 시스코에서 발표한 보안 업데이트 적용 필수.
2‑3. 다른 주요 취약점**
- Cisco ASA/FTD – SNMP 루트 권한 코드 실행, VPN 웹 서버 인증 우회 등.
3. 클라우드 플랫폼 및 IoT 보안 위협
3‑1. Mandiant BRICKSTORM 백도어
- 위협 개요 – EDR 에이전트 미설치 장비에 BRICKSTORM 백도어 설치, UNC5221 및 중국 연계 그룹과 연관.
- 경고 – 고급 공격 기법으로 신속한 대응 필요.
3‑2. 구글 Cloud Mandiant Consulting**
- 주요 알림 – BRICKSTORM 백도어가 가정용·기업용 어플라이언스에 침투.
3‑3. 다른 클라우드 보안 경고**
- 금보원 AI 점검 도구 – 금융권 취약점 분석·평가 자동화에 AI 활용.
- 엠클라우독 – AI 도입 시 보안이 최우선 요소로 확인.
4. AI 기반 보안 도구와 검증 프로세스
4‑1. 금융보안원 AI 점검 도구 개발
- 웹 취약점 AI 점검 도구 – AI 에이전트가 정보 수집·취약점 검사·결과 분석을 한 번에 수행.
- 효과 – 금융기관 보안 점검 속도와 정확도 향상, AI‑인간 협업 모델 강화.
4‑2. 카카오 AI 비서·토스 안면 결제 검토**
- 사전 적정성 검토(2년 성과) – 개인정보 침해 예방을 위해 카카오 AI 비서 및 토스 안면 결제 서비스가 출시에 앞서 검토.
4‑3. AI 도구 활용 증가**
- 엠클라우독 설문 – AI 도입 시 보안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
5. 지식재산·IP 생태계와 스타트‑업**
5‑1. IP 중개사 자격제도**
- 전문성 인증 – 특허·상표 거래 투명성 강화.
5‑2. 2025 지식재산 스타트‑업 시상**
- 시상 – 시상식에서 "시스템·제조·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의 7개 스타트‑업이 수상.
5‑3. 시대 스타트‑업 경쟁**
- 시상 – KST 주최 2025년 KST·시상식에서 수상한 스타트‑업 7개 (시스템·제조·소프트웨어·서비스).
6. 양자·공정 AI 생태계**
6‑1. NIA·KST 양자산업 이코노미**
- 개발 추진 – 양자컴퓨팅·양자통신 등 차세대 기술 개발 가속화.
6‑2. 공식 발표 및 파트너십**
- NIA와 KST – 양자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정책 및 투자 확대.
6. 물리적 AI(Physical AI)와 글로벌 전략**
6‑1. Physical AI Alliance 발족**
- 목표 – 2025년 국내외 물리적 AI 기술 리더십 확보.
- 내용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AI 기반 스마트 장치 개발, 국제 협업 강화.
6‑2. Physical AI 전 세계적 진출**
- 전략 발표 – 글로벌 시장에서 물리적 AI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정책.
6. 국가 차원의 스마트·센서 기술 이니셔티브**
6‑1. 기획형 규제 샌드박스와 스마트 테크놀로지**
- 과제 – 모빌리티, 스마트시티, 범죄예방 등 생활밀착형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정책 수립·실험.
6‑2. 공공·민간 협업**
- 스마트 기술 – 대중교통, 교통 흐름 모니터링, 재난 대응 등과 연결.
7.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정책**
7‑1. 데이터 보호법 개정**
- 10월 2일 – 데이터 보호법 개정안이 시행 예정.
- 해외 기업 준수 – 구글·메타·오픈AI 등 16개 해외 기업에 국내 법인 대리인 지정 권고.
7‑2. 데이터 보호 정책**
- 기타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강화되고, 기업의 데이터 거버넌스 강화 요구가 늘어남.
주요 포인트
1️⃣ 국가 기반 보안 인프라 마비 사태와 정부의 긴급 보안 점검, 규제 샌드박스
2️⃣ 시스코·Cisco 제품 취약점 및 패치, VPN 원격 코드 실행
3️⃣ 클라우드/IoT 백도어 (BRICKSTORM) 경고
4️⃣ AI 기반 보안 도구 개발·검증 프로세스
5️⃣ 지식재산·IP 중개사 제도 및 스타트‑업 시상
6️⃣ 물리적 AI 연합(Physical AI Alliance) 및 양자기술 생태계 구축
7️⃣ 데이터 보호법 개정과 해외 기업 컴플라이언스
이상은 2025년 한국 및 글로벌 보안·디지털 전략의 핵심 이슈를 주제별로 정리한 요약입니다.
필요한 경우 각 항목의 자세한 기사 내용과 관련 정책을 추가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