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한일 IP서비스 업계, AI기반 협력 강화

2025. 10. 21. 02:29·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KAIPS)가 일본의 FPIS와 40주년 기념식에서 AI 기반 특허·지식재산정보 서비스의 미래를 논의했다. 두 조직은 상호 협력을 통해 디지털 IP 생태계 확장과 기술 교류를 가속화할 방침이다.

핵심 포인트

  • AI를 활용한 특허·IP 정보 서비스 혁신: 자연어 처리와 머신러닝으로 특허 검색·분석을 자동화하고, 실시간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국제 협력 체계 구축: KAIPS와 FPIS가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일본·한국 특허 데이터의 상호 호환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 디지털 IP 생태계의 미래: 블록체인·스마트 계약 등 신기술을 접목해 IP 소유권 검증·이전 과정을 투명하고 안전하게 만든다.

기술 세부 내용

1️⃣ AI‑Driven Patent Search & Analysis

핵심 아이디어

AI를 통해 특허 문서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유사 특허를 빠르게 찾아내며, 인사이트를 시각화한다. 이를 위해 NLP(자연어 처리), 벡터 임베딩, 추천 알고리즘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단계별 구현 프로세스

단계 설명 사용 기술 예시 코드 (Python)
1️⃣ 데이터 수집 공공·사설 특허 데이터베이스에서 XML/JSON 파일을 크롤링 Scrapy, Selenium python<br>response = requests.get(url)<br>xml_data = response.text
2️⃣ 전처리 텍스트 정제, 토큰화, 중복 제거 NLTK, SpaCy python<br>doc = nlp(text)<br>tokens = [t.text for t in doc if not t.is_stop]
3️⃣ 특허 클레임 추출 Claim 부분을 식별하고 핵심 키워드 추출 Transformer(DeBERTa, BERT) python<br>claim_tokens = claim_pipeline(text)
4️⃣ 벡터 임베딩 생성 문장/클레임 단위 벡터 생성 Sentence‑Transformers python<br>vector = model.encode(text, convert_to_tensor=True)
5️⃣ 유사도 검색 벡터 기반 ANN(Approximate Nearest Neighbor) 검색 FAISS, Milvus python<br>idx = faiss.IndexFlatL2(d)<br>faiss.normalize_L2(vectors)<br>_, I = idx.search(vector, k)
6️⃣ 시각화 & 인사이트 제공 유사도 맵, 트렌드 그래프 Plotly, Tableau python<br>fig = px.scatter(df, x='x', y='y', color='category')
7️⃣ 추천 시스템 사용자 검색 이력과 유사도 기반 추천 Collaborative Filtering python<br>model = Surprise.SVD()

⚙️ 주요 컴포넌트

  • 데이터 파이프라인: Apache Airflow로 워크플로우를 관리하고, Kafka로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 NLP 모델: Hugging Face Transformers에서 Fine‑tuning된 “ko-BERT” 또는 “Korean GPT‑2” 사용.
  • 인덱싱: Elasticsearch + Dense Vector 검색(ELK stack).
  • 시각화: Kibana 대시보드와 Grafana로 실시간 모니터링.

비즈니스 가치

  • 검색 시간 70% 단축: AI가 자동으로 관련 특허를 선별해 주므로, 연구자·변리사는 수작업 없이 핵심 문서를 바로 찾을 수 있다.
  • 지식 재활용: 이전에 검색된 유사 특허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재활용하거나 피하기 쉽다.
  • 비용 절감: 인건비와 검색 비용이 감소하며, 동시에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된다.

2️⃣ Blockchain‑Based IP Ownership Verification

핵심 아이디어

IP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거래 기록의 불변성, 투명성, 자동화를 실현한다.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통해 IP 이전, 라이선스 부여, 로열티 결제까지 자동화한다.

️ 단계별 구현 프로세스

단계 설명 사용 기술 예시 코드 (Solidity)
1️⃣ Tokenization 각 특허·디자인·상표를 ERC‑721 또는 ERC‑1155 토큰으로 대표 Ethereum, Polygon solidity<br>contract IPToken is ERC1155 {}
2️⃣ Smart Contract 배포 소유권 이전, 라이선스 부여 조건을 코드화 Solidity solidity<br>function transferIP(address to, uint256 id) public {}
3️⃣ 불변 레지스터 IP 기록(등록일, 소유자, 상태)을 블록체인에 저장 IPFS + 스마트 계약 solidity<br>string public metadataURI;
4️⃣ 오라클 연동 외부 특허 사무소나 국가 등록 기관과 데이터 연동 Chainlink solidity<br>contract OracleConsumer {}
5️⃣ 거래 자동화 라이선스 비용을 ERC‑20 토큰으로 자동 결제 ERC‑20 solidity<br>function payRoyalty(uint256 amount) public payable {}
6️⃣ 스케일링 Layer‑2 솔루션(Optimism, Arbitrum) 활용 Rollup solidity<br>pragma solidity ^0.8.0;

⚡ 핵심 이점

  • 투명성: 모든 IP 소유권 변경이 블록체인에 기록돼, 누구나 검증 가능.
  • 불변성: 한 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조가 불가능해 분쟁을 최소화.
  • 자동화: 스마트 계약으로 라이선스 계약, 로열티 결제 등을 자동 실행.
  • 국제 호환성: 암호화폐/토큰을 통해 국경을 넘어 즉시 거래 가능.

보안 고려사항

  • 키 관리: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사용해 프라이빗 키 보호.
  • 스마트 계약 감사: OpenZeppelin, ConsenSys Diligence를 통한 코드 검증.
  • 프라이버시: 민감 데이터는 IPFS에 암호화 저장, 스마트 계약에서는 해시만 공개.

비즈니스 활용 사례

  • 스타트업 특허 거래: 스타트업이 보유한 특허를 토큰화해 VC나 다른 기업에 빠르게 매각.
  • 라이선스 로열티: 제조사가 자동으로 로열티를 결제하고, 수익이 스마트 계약에 의해 분배.
  • 공공기관 데이터 공유: 국가 특허청이 토큰화된 데이터를 국제 협업 플랫폼에 제공해 데이터 유통 비용 절감.

마무리 정리

  • AI와 블록체인 두 기술은 IP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높인다.
  • KAIPS와 FPIS가 40주년 기념식에서 논의한 AI 기반 특허 검색·분석과 블록체인 기반 소유권 검증은, 실제로 일본·한국 양국에서 공동 개발·배포될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기술 도입은 지식재산권 관리에 있어 자동화, 신속성, 신뢰성을 한 단계 끌어올려, 글로벌 IP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Tip for Notion users:
- 헤더를 ## (H2) 또는 ### (H3) 로 설정해 페이지 구조를 명확히 해보세요.
- 이모지를 사용해 시각적 구분을 강화하고, - 로 리스트를 만들어 읽기 쉽도록 배치하세요.
- 코드 블록은 ```언어명 으로 감싸면 시각적 강조 효과가 좋습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851&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중국산 서빙 로봇, 해킹 위험에도 보안실태 점검 못해  (0) 2025.10.21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10-20)  (0) 2025.10.21
[데일리시큐][국감] 한국은행, 5년간 3천건 해킹 시도 받았지만…보안 인력·예산은 ‘제자리’  (0) 2025.10.21
[보안뉴스]AWS 장애...퍼플렉시티, 캔바 등 다수 서비스 장애  (0) 2025.10.20
[보안뉴스]과기정통부-공군, 양자 기술 국방 적용 협력  (0) 2025.10.20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중국산 서빙 로봇, 해킹 위험에도 보안실태 점검 못해
  •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10-20)
  • [데일리시큐][국감] 한국은행, 5년간 3천건 해킹 시도 받았지만…보안 인력·예산은 ‘제자리’
  • [보안뉴스]AWS 장애...퍼플렉시티, 캔바 등 다수 서비스 장애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67)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1047)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보안뉴스]한일 IP서비스 업계, AI기반 협력 강화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