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SK쉴더스 유출 데이터 2차 다크웹 공개...자체 보안 거버넌스 적절했나

2025. 10. 21. 17:38·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SK쉴더스가 “블랙쉬란택”에 의해 데이터가 탈취되었다는 주장이 나오며, 이 집단이 다크웹에 추가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공개된 자료가 고객사 시스템 정보와 취약점을 포함한다면 2차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커졌고, SK쉴더스가 보안 거버넌스를 제대로 갖추고 있었는지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블랙쉬란택(Blackshrantac): 세계적 사이버 범죄 집단이 SK쉴더스의 데이터를 탈취했다고 주장하고 다크웹에 추가 자료를 공개함.
  • 다크웹에 공개된 자료: 고객사 시스템 구성과 취약점 정보까지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2차 피해(지식 유출·공격 기반)의 위험을 높임.
  • 보안 거버넌스 의문: SK쉴더스가 사고 대응, 내부 통제, 위험 관리 등을 충분히 준비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기술 세부 내용

1️⃣ Dark Web & Anonymity

개념 정의

  • Dark Web: 일반적인 검색 엔진이 색인하지 못하는, 토르(Tor) 네트워크와 같은 암호화된 익명성 채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영역.
  • Hidden Services: *.onion 도메인으로 운영되는 사이트로, 접속 시 암호화된 라우팅을 통해 IP 주소를 숨김.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주요 기술 역할
1️⃣ Tor 네트워크 구축 사용자는 Tor 브라우저를 설치 → Tor 노드를 통해 트래픽 라우팅 Relay Nodes, Guard Nodes, Exit Nodes 익명성 확보
2️⃣ 암호화 트래픽은 여러 계층 암호화(SSL → TLS → Tor) AES, RSA, ECDHE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유지
3️⃣ Hidden Service 접속 *.onion 주소 요청 → Hidden Service의 공개키를 사용 ECDSA 인증 및 연결 보안
4️⃣ 트래픽 라우팅 노드 간 라우팅 경로 생성 → 최종 목적지로 전달 Randomized Path IP 추적 방지

사용 사례

  • 합법적: 언론인·시민단체가 검열 회피용으로 사용.
  • 비합법적: 사이버 범죄(데이터 거래, 암호화폐 마이닝, 악성코드 배포)에서 흔히 활용.

보안 대비책

  1. VPN + Tor 결합: Tor 노드만이 아닌, VPN을 먼저 통해 ISP를 우회.
  2. HTTPS‑Only: 암호화되지 않은 트래픽은 금지.
  3. DNS Leak Prevention: Tor 전용 DNS 사용.

2️⃣ Data Exfiltration & Leak Mechanisms

탈취 프로세스 단계

단계 목표 대표 도구 방어 포인트
1️⃣ Reconnaissance 목표 시스템 파악 Nmap, Shodan, OSINT 내부 보안 정보 공유 최소화
2️⃣ Credential Theft 접근 권한 확보 Keyloggers, Mimikatz, Credential Dumpers MFA, 비밀번호 정책 강화
3️⃣ Lateral Movement 내부 네트워크 확장 Pass-the-Hash, Remote PowerShell 세분화된 접근 제어
4️⃣ Data Staging 탈취 대상 파일 수집 PowerShell 스크립트, RDP 세션 파일 암호화 방지, 파일 무결성 검증
5️⃣ Exfiltration 외부로 전송 암호화된 FTP, HTTPS, Tor Hidden Service 암호화 전송, 전송량 모니터링
6️⃣ Cover‑Up 흔적 제거 로그 삭제, 타임스탬프 변조 로그 보존 정책 강화, 보안 모니터링

실제 사례: 블랙쉬란택

  • 고객사 시스템 구성 정보 및 취약점 공개 → 악성 코드 삽입 기반 공격 가속화.
  • 다크웹에 공개된 자료를 통해 공격자는 내부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고, 표적 공격(예: APT)을 설계할 수 있음.

방어 전략

  1. Zero Trust Architecture: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한다”는 원칙에 따라 내부/외부 모두에 대해 최소 권한 원칙 적용.
  2. Endpoint Detection & Response (EDR): 실시간 감지, 행동 분석.
  3. Data Loss Prevention (DLP): 파일 이동/전송 시 암호화/검사.
  4. SIEM + SOAR: 이벤트 수집, 상관관계 분석, 자동화 대응.
  5. 위협 인텔리전스 피드: 최신 APT 모듈, C2 도메인, 파일 해시 제공.

3️⃣ Governance & Incident Response in Security Companies

보안 거버넌스 핵심 요소

요소 내용 구현 방안
1️⃣ 보안 정책 조직 전체에 대한 보안 목표와 규칙 ISO 27001, NIST CSF
2️⃣ 위험 관리 자산, 위협, 취약점 평가 RISK MATRIX, ATT&CK 기반 평가
3️⃣ 컴플라이언스 법률·규정 준수 GDPR, ISO 27001, PCI‑DSS
4️⃣ 교육·인식 직원 보안 의식 정기 훈련, 피싱 테스트
5️⃣ 거버넌스 체계 역할·책임 정의 CISO, SOC Team, Incident Response Team

사고 대응 프로세스 (IR)

단계 주요 활동 KPI
1️⃣ 식별 알림 수집, 이벤트 상관 평균 탐지 시간(EDT)
2️⃣ 정지 침해 범위 제한, 서비스 격리 반응 시간(ART)
3️⃣ 제거 악성 코드 삭제, 취약점 패치 평균 복구 시간(ART)
4️⃣ 복구 정상 서비스 복원, 모니터링 강화 시스템 가용성(Δ)
5️⃣ 배우기 사고 보고서, 교훈 도출 재발률(Δ)

SK쉴더스의 현재 상황 분석

  • 다크웹 공개 자료가 고객사 데이터까지 포함 → 데이터 보호 정책이 충분히 구현되지 않았을 가능성.
  • 보안 거버넌스가 부족하다면 위험 인식과 사고 대응이 느려질 수 있음.
  • 보안 대표 기업이란 표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계 최고 수준의 정책과 프로세스를 갖추었는지 검증 필요.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실질적 조치

  1. 정기적인 보안 평가 (펜테스트, 보안 컨설팅)
  2. 다층 보안 정책(네트워크, 엔드포인트, 어플리케이션) 도입
  3.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SIEM, EDR, XDR) 실시간 알림 설정
  4. 데이터 분류 & 접근 제어: 민감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접근 제한
  5. 전문 인력 채용: 보안 연구원, CISO, Incident Response Team 전문화

실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설명 권장 도구
Tor 사용 여부 기업 내부에서 Tor 접속 여부 Tor Browser, Whistleblower Shield
데이터 무결성 검증 전송 데이터에 대한 해시 검증 SHA‑256, Integrity Checker
로그 보존 기간 1년 이상 보존 및 접근 제한 SIEM Retention Policies
멀티팩터 인증(MFA) 모든 접근 포인트에 MFA 적용 Duo, Okta, Google Authenticator
보안 교육 프로그램 3개월마다 모의 피싱 및 인식 교육 KnowBe4, PhishMe
정기 감사 외부 보안 감사 주기 ISO 27001 Auditor, NIST CSF Review

마무리

블랙쉬란택의 공격과 다크웹에서의 자료 공개는 조직의 보안 거버넌스와 데이터 보호 체계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Dark Web이 제공하는 익명성, 데이터 탈취 프로세스가 기업 내부를 어떻게 침해할 수 있는지, 그리고 보안 거버넌스와 사고 대응 프로세스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계별로 이해하면, IT 전문가로서 조직의 방어 태세를 한층 강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849&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국감] “민간 해킹엔 압박, 공공 해킹엔 침묵“…정부 온나라시스템 해킹과 LG유플러스 국감서 드러난 이중잣대  (0) 2025.10.21
[보안뉴스]박세준 티오리 대표 “해킹은 ‘기본’ 간과때문...지속점검 집중해야”  (0) 2025.10.21
[보안뉴스]IoT 보안인증 받은 해외 기업 ‘0개’...로보락 논란에 인증 실효성 도마 위  (0) 2025.10.21
[보안뉴스]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 “SK쉴더스 유출된 이메일 내용 면밀히 분석 중”  (0) 2025.10.21
[보안뉴스]세계 양자 과학자 한자리에... APEC 양자과학기술 포럼 22일 개최  (0) 2025.10.21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일리시큐][국감] “민간 해킹엔 압박, 공공 해킹엔 침묵“…정부 온나라시스템 해킹과 LG유플러스 국감서 드러난 이중잣대
  • [보안뉴스]박세준 티오리 대표 “해킹은 ‘기본’ 간과때문...지속점검 집중해야”
  • [보안뉴스]IoT 보안인증 받은 해외 기업 ‘0개’...로보락 논란에 인증 실효성 도마 위
  • [보안뉴스]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 “SK쉴더스 유출된 이메일 내용 면밀히 분석 중”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67)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1047)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보안뉴스]SK쉴더스 유출 데이터 2차 다크웹 공개...자체 보안 거버넌스 적절했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