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공공기관(경찰청, 대검찰청, 법무부, 행정안전부 등)을 사칭한 피싱 문자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탐지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AskURL'을 통해 이러한 사칭 피싱을 탐지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관련 문자메시지 수신 시 해당 기관에 직접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포인트
- 공공기관 사칭 피싱 증가 추세
- AI 기반 안티피싱 솔루션 AskURL 활용 ️
-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진위 여부 확인 필수
기술 세부 내용
1️⃣ AskURL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 누리랩에서 개발한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 피싱 공격에 사용되는 URL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사용자를 보호.
- 실시간으로 피싱 URL 탐지 및 차단 기능 제공.
-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진화하는 피싱 공격에 대응.
- 뉴스 본문에서는 AskURL을 통해 공공기관 사칭 피싱 문자를 탐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
2️⃣ 피싱 (Phishing)
- 개인정보(ID, 비밀번호, 계좌번호, 카드 정보 등)를 탈취하기 위해 합법적인 기관이나 기업으로 위장하는 사이버 공격 유형.
- 이메일, 문자 메시지, 웹사이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악성 링크를 유포하고 클릭을 유도.
- 뉴스 본문에서는 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싱 문자 메시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경고.
3️⃣ 사칭 피싱 (Spoofing)
- 특정 기관이나 개인을 사칭하여 신뢰를 얻은 후 정보를 탈취하는 피싱 기법의 일종.
- 이메일 주소, 발신 번호, 웹사이트 디자인 등을 교묘하게 위조하여 사용자를 속임.
- 뉴스 본문에서는 경찰청, 대검찰청, 법무부,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 사칭 피싱이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
4️⃣ 피싱 대응 방안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 이메일의 링크 클릭하지 않기 ❌
-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꼼꼼히 확인
- 의심스러운 메시지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하여 진위 여부 확인
-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웹사이트의 URL과 보안 인증서 확인 ️
- 운영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 최신 버전으로 유지
-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및 주기적인 변경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938&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시큐]공공기관 사칭 피싱 갈수록 정교해져…누리랩 “의심스러운 URL, 절대 접속 금지” (0) | 2025.07.01 |
---|---|
[보안뉴스]TTA, 국내 최초 AI 모델 전용 ‘AI 보안 시험서비스’ 개시 (0) | 2025.07.01 |
[데일리시큐]파파존스·써브웨이, 개인정보 대량 노출…외식 프렌차이즈 업계 보안 비상 (0) | 2025.07.01 |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6-30) (0) | 2025.07.01 |
[보안뉴스]써브웨이 홈페이지에 다른 사람 주문 정보 고스란히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