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Citrix NetScaler ADC 및 Gateway에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CVE-2025-6543)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시스템 제어권 탈취 및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 of Service, DoS)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벤더의 지침에 따라 완화 조치를 적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BOD 22-01 지침을 따르고, 완화 조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제품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이 취약점은 NetScaler가 Gateway(VPN virtual server, ICA Proxy, CVPN, RDP Proxy) 또는 AAA virtual server로 구성된 경우에 발생합니다.
핵심 포인트
- Citrix NetScaler ADC 및 Gateway 제품에서 치명적인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 발견
- CVE-2025-6543 로 등록된 취약점
- 악용될 경우 시스템 제어권 탈취 및 서비스 거부 공격(DoS) 발생 가능
- NetScaler가 Gateway (VPN virtual server, ICA Proxy, CVPN, RDP Proxy) 또는 AAA virtual server 로 구성된 경우 취약
- 벤더에서 제공하는 완화 조치 적용, BOD 22-01 지침 준수, 또는 제품 사용 중단 필요
기술 세부 내용
1️⃣ Buffer Overflow
- 버퍼 오버플로우는 프로그램이 버퍼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쓰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취약점입니다.
- 이로써 인접 메모리 영역이 덮어쓰여지게 되고, 프로그램의 예기치 않은 동작이나 충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공격자는 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 코드를 실행하고 시스템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습니다.
- 본 뉴스에서 언급된 Citrix NetScaler의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은 공격자가 특별히 제작된 요청을 전송하여 악용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요청은 NetScaler가 할당된 버퍼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여 버퍼 오버플로우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DoS 또는 원격 코드 실행(RCE)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2️⃣ Denial of Service (DoS)
- DoS 공격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정상적인 사용자의 접근을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공격자는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하거나 시스템 리소스를 고갈시켜 서비스를 중단시킵니다.
- 본 뉴스의 취약점은 악용될 경우 NetScaler ADC 및 Gateway에 DoS 공격을 일으켜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3️⃣ Citrix NetScaler ADC and Gateway
- Citrix NetScaler ADC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컨트롤러로서, 로드 밸런싱, 콘텐츠 스위칭, SSL 오프로딩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가용성을 향상시킵니다. ⬆️
- Citrix NetScaler Gateway는 VPN 및 원격 액세스 솔루션으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기업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이 두 제품 모두 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므로, 해당 취약점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CVE-2025-6543
-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는 공개적으로 알려진 사이버 보안 취약점 목록입니다.
- CVE-2025-6543는 Citrix NetScaler ADC 및 Gateway의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에 할당된 CVE 식별 번호입니다.
- 이 번호를 통해 보안 전문가와 조직은 취약점 정보를 공유하고 완화 조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5️⃣ BOD 22-01
- BOD 22-01은 미국 연방 정부 기관을 위한 사이버 보안 지침입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특정 요구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 뉴스에서 언급된 BOD 22-01 지침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NetScaler를 사용하는 조직에 적용됩니다.
6️⃣ Mitigation
- 완화 조치는 사이버 보안 위협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 벤더가 제공하는 패치, 업데이트, 구성 변경 등이 포함됩니다. ️
- Citrix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완화 조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자는 이를 적용하여 시스템을 보호해야 합니다. ✅
728x90
반응형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정부 사기 피해 구제 신청’ 문자, 가짜입니다...누리랩 “공공기관 사칭 피싱 진화 (0) | 2025.07.01 |
---|---|
[데일리시큐]파파존스·써브웨이, 개인정보 대량 노출…외식 프렌차이즈 업계 보안 비상 (0) | 2025.07.01 |
[보안뉴스]써브웨이 홈페이지에 다른 사람 주문 정보 고스란히 (0) | 2025.06.30 |
[보안뉴스][인사] 특허청 (0) | 2025.06.30 |
[보안뉴스]서울시, 입법·정책 자문에 변리사 참여...변리사회, “환영” (1)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