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이로운앤컴퍼니 윤두식 대표는 AI 시대의 사이버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을 강조했습니다. AI를 이용한 악성 코드 생성 및 공격 자동화, 그리고 이에 맞서는 AI 기반 방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인간의 역할은 전략과 시스템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AI가 공격하고 AI가 방어하는 시대 도래. 인간은 전략과 시스템으로 균형을 잡아야 함.
- 악성 AI 도구의 서비스화로 누구나 해커가 될 수 있는 시대.
- AI 기반 자동화 공격의 증가 및 정교화.
- AI 기반 보안 시스템 구축 및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기술 세부 내용
1️⃣ AI 기반 악성 코드 생성 및 공격 자동화
- AI는 악성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공격이 실패하면 스스로 코드 패턴을 바꿔 다시 공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화된 공격은 기존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고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공격자는 특정 취약점을 목표로 하거나, 다양한 공격 벡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피싱 이메일의 내용을 자동 생성하거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코드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 ⚙️ 이러한 자동화된 공격은 낮은 비용으로 대규모 공격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문적인 해킹 기술이 없는 사람도 AI 도구를 사용하여 사이버 공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이버 범죄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공격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개인과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2️⃣ AI 기반 방어 시스템
- ️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격 패턴을 학습하고, 새로운 공격 유형을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보안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의심스러운 활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이상 접근 탐지 시스템(IDS) 또는 침입 방지 시스템(IPS)에 통합되어 악의적인 활동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차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AI는 보안 전문가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보안 전문가는 AI가 제공하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반복적인 보안 작업을 자동화하여 보안 담당자들이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AI는 보안 로그 분석, 취약점 스캐닝, 사고 대응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3️⃣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 AI 시대의 사이버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보안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이 필수적입니다. AI 기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며, AI를 활용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기관과 기업, 정부가 협력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 국가 차원의 사이버 보안 전략 수립 및 국제 협력 강화도 중요합니다. AI 기반 사이버 공격은 국경을 넘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또한, 사이버 보안 관련 법규 및 제도를 정비하여 AI 기술의 악용을 방지하고 안전한 사이버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839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7-10) (3) | 2025.07.11 |
---|---|
[데일리시큐]홍관희 CISO “보안은 생존의 문제이자 성장의 기회” (0) | 2025.07.11 |
[KRCERT]Grafana Labs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1) | 2025.07.10 |
[보안뉴스]윈도우 제로데이 취약점 ‘CVE-2025-32713’ 최초 발견…S2W 포착 (0) | 2025.07.10 |
[보안뉴스]AI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개인정보 오남용 문제는 어떻게? (2)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