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요약
한국 소방청이 주관한 2025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시상식에서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가 세계 최초 혁신사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해외 재외국민이 비상시 의료 상담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미국 등 123개국 대사관이 검증한 독보적 기능을 자랑합니다.
핵심 포인트
- 글로벌 접근성: 123개국 대사관과 연동해 어디서든 즉시 연결
- 실시간 AI triage: 상황 판단을 자동화해 의료 리소스를 효율화
- 고보안 통신: 암호화와 인증으로 개인정보와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
기술 세부 내용
1️⃣ Telemedicine Platform (EHR Integration)
1️⃣ 플랫폼 아키텍처: 클라우드‑기반 microservices가 REST‑API로 연결되는 모듈형 설계.
2️⃣ EHR 연동: HL7 FHIR 프로토콜을 사용해 각국 의료 기관과 실시간 환자 기록을 교환.
3️⃣ 멀티미디어 채널: 영상(HD 1080p), 음성(Opus codec), 텍스트(UTF‑8) 모두 지원해 장애인 접근성 보장.
4️⃣ 스케줄링 엔진: 자동 예약 및 알림 기능으로 응급 상황에서도 대기 시간을 최소화.
2️⃣ AI‑Based Triage Engine
1️⃣ 데이터 수집: 증상 입력, 위치(Geo‑IP), 기상·지진·폭력 등 외부 센서 데이터가 실시간 수집.
2️⃣ 모델 선택: 다층 퍼셉트론(MLP) + Transformer 혼합 모델이 90% 이상의 정확도로 위험도를 평가.
3️⃣ 결과 전달: 실시간 UI에 ‘긴급 → 지역 병원 → 해외 의료 기관’ 경로를 시각화.
4️⃣ 연속 학습: 피드백 루프(사용자 만족도, 의료 결과)를 통해 모델을 지속적으로 재학습.
3️⃣ Secure Global Communication (End‑to‑End Encryption)
1️⃣ 키 교환: ECDHE(256) 기반 DH 키 교환으로 세션 키를 생성.
2️⃣ 데이터 암호화: AES‑GCM(128/256)로 전송 데이터 보호, 완전한 무결성 검증.
3️⃣ 인증: X.509 디지털 인증서와 DANE 기반 DNS‑SEC를 활용해 서버 신뢰성을 확보.
4️⃣ 컴플라이언스: GDPR, HIPAA 등 국제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자동 검사·보고.
비고: 이 세 기술은 단일 서비스 내에서 완전히 통합되어, 해외 재외국민이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고 신속한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149&kind=&sub_kind=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경기도, 경기융합타운 CCTV에 AI 기반 영상인식 시스템 시범 도입 (0) | 2025.09.09 |
---|---|
[보안뉴스]잇따른 통신사, 카드사 해킹...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불법 유통 감시한다 (0) | 2025.09.09 |
[보안뉴스]공공조달물품 원산지표시 위반행위에 칼 빼든 관세청...단속 실시 (0) | 2025.09.09 |
[보안뉴스]정부, KT 소액결제 피해 사건 민관합동조사단 구성 (0) | 2025.09.09 |
[데일리시큐]깃허브 공급망 공격 ‘고스트액션‘, 3,325개 시크릿 유출…오픈소스 생태계 위협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