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경기도가 ‘안전귀가’ 앱과 ‘자율방범대 달빛동행’ 서비스를 통해 시민의 안전 귀가를 지원하고, 2026년까지 40개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GPS 기반 실시간 추적, 암호화 통신, 경찰·지자체와의 데이터 연계로 구성된다.
핵심 포인트
- 앱 기반 실시간 귀가 추적 – 사용자 위치·목적지 공유, 긴급 알림 기능
- 자율방범대 시범 운영 – AI·센서 결합 로봇·드론이 정해진 경로를 감시
- 지방·경찰 협업 인프라 – 통합 데이터베이스, PIPA 준수, 연동 API
기술 세부 내용
1️⃣ 안전귀가(SafeReturn) 모바일 앱
- 계정·위치 인증
1️⃣ 앱 설치 → 주민등록번호(혹은 휴대폰 번호) 인증
2️⃣ GPS 활성화 → 실시간 위치 수집 - 경로 공유
1️⃣ 출발·도착지 입력 →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적용
2️⃣ 실시간 위치가 “SafeReturn” 서버에 전송 → 비밀키 암호화(HTTPS, TLS) - 긴급 알림
1️⃣ 사용자가 ‘SOS’ 버튼 클릭 → 911(국가 119) + 지역 경찰(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에게 자동 전송
2️⃣ 알림에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연락처 포함 → 실시간 반응 속도 향상 - 데이터 보안
- PIPA(개인정보보호법) 준수 → 최소화 원칙, 익명화, 보관기간 설정
- 비밀키 저장은 KISA 인증 보안 모듈 사용
2️⃣ 자율방범대 달빛동행 서비스
- 기반 플랫폼
- 센서: 라이다, 초음파, 카메라(감성 분석), IR(야간 시야)
- AI: 객체 인식(시민, 차량, 범죄 가능 객체) → YOLOv5 기반
- 통신: LTE‑M/5G NB‑IoT → 낮은 전력 소모와 실시간 전송
- 운영 절차
1️⃣ 경호 구간 지정 → GIS 기반 경로 설정
2️⃣ 로봇/드론 배치 → 자동 주행 모드로 출동
3️⃣ 실시간 영상/데이터 서버로 전송 → 경찰이 실시간 모니터링
4️⃣ 이상 징후 발생 시 자동 알림 → 인력·전술팀 배치 - 안전성 및 윤리
- 사이버 방어: WPA3, 802.1X 인증, IDS(침입 탐지 시스템)
- 윤리적 AI: 편향 최소화, 오탐율 1% 이하 목표
3️⃣ 지역·경찰 연계 인프라
- 데이터 연동 API
- RESTful 서비스 → GET/POST, JWT 토큰 인증
- ‘경찰청 GIS 시스템’과의 연계 → 현장 상황 매핑
- 지속적 모니터링
-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 구축 → 로그 수집, 이벤트 correlation
- 주간 보고서 자동 생성 → 정책 검토 및 서비스 개선
- 법적 준수
- PIPA: 데이터 최소화, 개인정보 처리 방침 공개
- GDPR 유사 규정: 데이터 주체 권리(수정·삭제) 제공
요약
경기도는 모바일 앱과 자율방범대 서비스를 결합해 시민 귀가 시 실시간 추적과 긴급 대응을 제공한다. AI·센서 기반 로봇이 경호 구간을 감시하고, 데이터는 안전하게 암호화되어 경찰·지자체와 연계된다. 2026년까지 40개 지역으로 확대해 전국적 안전망 구축이 목표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195&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조달청, 혁신제품 공공구매 2030년까지 3조원 수준으로 확대 (0) | 2025.09.11 |
---|---|
[보안뉴스]IP서비스 역할 정립, 업계가 나섰다...KAIPS, 정책과제 취합·선별 착수 (0) | 2025.09.11 |
[보안뉴스]한국형 증거 개시 제도 도입...中企 기술 탈취 개발비도 배상 (0) | 2025.09.11 |
[데일리시큐]SAP, 치명적 넷위버 취약점 긴급 수정…전 세계 기업 보안 비상 (0) | 2025.09.10 |
[보안뉴스][KT 무단 소액결제] “SKT-LG유플러스 가짜 기지국 발견 안 돼”...정부 현안 브리핑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