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롯데카드의 해킹 사건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해 사용자의 정체성을 보호한 연계정보(Connecting Information) 가 유출되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데이터의 암호화 안전성, 관리 체계 및 대응 절차를 긴급 점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요 이슈는 암호화 방식, 보안 인프라의 취약점, 그리고 사고 대응 프로세스의 미흡에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연계정보는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는 핵심 데이터입니다.
- 암호화된 데이터가 유출된 사건은 암호화 체계와 접근 통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 방송통신위원회의 긴급 점검은 규제 감독과 보안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기술 세부 내용
1️⃣ 연계정보(Connecting Information) 암호화
- 정의: 주민등록번호를 해시·암호화(예: SHA‑256 + salt, AES‑256)하여 식별이 가능하면서도 원본을 복원할 수 없도록 만든 개인 식별 정보.
- 목적: 개인정보 보호법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개인정보의 직접적인 노출 없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 암호화 흐름
1️⃣ 사용자 입력 → 2️⃣ salt와 해시 적용 → 3️⃣ 암호화 알고리즘(예: AES)로 인코딩 → 4️⃣ 데이터베이스 저장. - 취약점:
- Key Management: 키가 노출되면 전체 데이터가 열려, 키 보관·전송 시 암호화된 채널 사용 필요.
- Collision & Pre‑image: SHA‑256 같은 해시가 충분히 안전하지만, 동일한 salt·키 사용 시 충돌 위험 존재.
- Side‑Channel: 암호화 프로세스 실행 중 전력/시간 측정으로 키 유출 가능성.
2️⃣ ️ 보안 감사 및 사고 대응 메커니즘
- 정책:
- 접근 제어: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다단계 인증(MFA) 적용.
- 모니터링: 로그 수집 및 SIEM(예: Splunk, ELK)으로 비정상 접근 탐지.
- 취약점 관리: 정기 스캔(예: Nessus) 및 패치 주기(월간/분기) 설정.
- 사고 대응 단계
1️⃣ 탐지(Detection) –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알림.
2️⃣ 격리(Isolation) – 영향을 받은 시스템 차단, 네트워크 분리.
3️⃣ 분석(Investigation) – 포렌식 도구(FTK, EnCase)로 유출 범위 파악.
4️⃣ 복구(Recovery) – 백업 데이터 복원, 취약점 보완.
5️⃣ 보고(Reporting) – 관련 규제기관(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및 고객에 대한 공시. - 규제 대응:
- 국가 보안 법령(개인정보보호법, 방송통신법)에 따른 손해배상, 벌칙 가능성.
- 긴급 점검: 방송통신위원회가 요구하는 실시간 평가 및 보완 조치.
이 두 핵심 기술—암호화된 식별자와 종합 보안 관리 체계—는 향후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 사고 예방의 기초를 이룹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379&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개인정보 보호체계 확립’ 국정과제 채택...조사 비협조 시 강제력 강화 등 (0) | 2025.09.22 |
|---|---|
| [데일리시큐][단독] KT 가짜기지국 해킹…중국 블랙마켓 실제 상황 공개, 2018년부터 ‘한국 통신사 전용’ 가짜기지국 불법 판매 정황 드러나 (0) | 2025.09.22 |
| [주간이슈]데이터 유출부터 제로데이까지: 2025년 보안 트렌드 한눈에 (0) | 2025.09.22 |
| [데일리시큐]금융당국 “롯데카드 296만명 개인정보 유출 사태…금융권 보안체계 근본 개선 요구” (0) | 2025.09.21 |
| [보안뉴스]정부, “데이터센터 옆 전자파 안전 기준 1% 수준” (0)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