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모니터랩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국가 망 보안체계(N²SF) 시범 실증사업”에 참여해, AI 시스템의 보안·안정성 확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보안과 AI 보안 역량을 바탕으로 AI 생태계 구축을 선도한다.
핵심 포인트
- N²SF 시범 실증사업 참여: 정부 주도 AI 공통기반 보안체계 구축 프로젝트에 모니터랩이 포함됨.
- 애플리케이션 보안과 AI 보안: 두 영역을 결합해 AI 시스템 전반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강조.
- AI 생태계 구축 선도: 보안 역량 기반으로 AI 주권 확보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함.
기술 세부 내용
1️⃣ N²SF (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
- 목표: 초거대 AI 모델이 운영되는 국가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AI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공통 보안체계.
- 핵심 구성:
1️⃣ 위협 인텔리전스 수집 – 실시간 공격 패턴 분석 및 경보 발령.
2️⃣ 보안 정책 자동화 – AI 모델에 적용되는 보안 규칙을 동적으로 생성·적용.
3️⃣ 상호 운용성 – 국내·외 보안 표준과 호환되도록 설계. - 시범 실증 단계: 모니터랩은 실제 AI 서비스에 N²SF를 적용해 보안 사고 대응 시나리오를 테스트하고, 결과를 정책에 반영한다.
2️⃣ 애플리케이션 보안 + AI 보안 통합
- 애플리케이션 보안:
1️⃣ 입력 검증 – SQL Injection, XSS 등 전통적 취약점 방지.
2️⃣ 권한 관리 – RBAC/ABAC 기반 세분화된 접근 제어.
3️⃣ 로그 및 모니터링 – 실시간 이상 징후 탐지. - AI 보안:
1️⃣ 모델 무결성 – 모델 파일에 대한 디지털 서명 및 체크섬 검증.
2️⃣ 데이터 프라이버시 – Differential Privacy, Federated Learning을 활용해 민감 데이터 노출 방지.
3️⃣ 공격 탐지 – 모델 자체가 적대적 예시(Adversarial Examples)를 탐지하도록 학습. - 통합 프로세스:
1️⃣ 보안 설계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과 AI 모델 각각의 위험 요소를 식별.
2️⃣ 정책 수립 – 보안 요구사항을 정책형식으로 문서화하고, N²SF와 연동.
3️⃣ 자동화 테스트 – CI/CD 파이프라인에 보안 테스트를 삽입, 코드/모델 변경 시 자동 평가.
4️⃣ 운영 모니터링 – 보안 이벤트를 중앙 집중식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시각화.
5️⃣ 피드백 루프 – 사고 발생 시 원인 분석 결과를 다시 설계 단계에 반영.
이렇게 모니터랩은 N²SF와 통합 보안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AI 생태계 전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한국의 AI 주권을 강화할 기반을 마련한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525&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EU 출입국시스템(EES) 시행 관련 정부-여행업계 간담회’ 개최...지문으로 출입국 심사한다 (0) | 2025.09.29 |
|---|---|
| [보안뉴스]소실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96개 시스템, 대구로 이전 (0) | 2025.09.29 |
| [데일리시큐]잇따른 해킹에 불안…3년간 적발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게시물 64만 건 (0) | 2025.09.29 |
| [보안뉴스]국정자원 화재, 2년 전 행정전산망 마비에서 배운 것 없나 (1) | 2025.09.29 |
| [데일리시큐]국정자원 화재, 45시간 지났지만 여전히 정부24 등 주요 사이트 접속 불가 상태 (0) | 2025.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