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2023년 라우터 포트 문제로 ‘행정전산망’이 마비된 뒤 두 해가 흘렀지만, 화재와 네트워크 장애가 반복되며 추석 연휴 직전 대규모 서비스 마비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IT 인프라의 취약점과 복구 대비책의 한계를 재확인시켜 주는 사례입니다.
핵심 포인트
- 라우터 포트 설정 오류가 재발 방지의 핵심 장애 요인
- 종합 대책 마련에도 재해 시나리오 대비 부족
- 재난 대응 프로세스와 서비스 연속성 보장 강화 필요
기술 세부 내용
1️⃣ Router Port Misconfiguration
- 포트 0/1에 설정된 ACL이 실제 서비스 트래픽과 일치하지 않아 전사 트래픽이 차단
- 단계별 해결:
1️⃣ 라우터 CLI 접속 →show running-config로 현재 ACL 확인
2️⃣access-list명령으로 허용/차단 규칙 재정리
3️⃣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로 영구 저장 → 재부팅 후show ip interface brief로 정상 확인
2️⃣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 Residual Risks
- 중복 라우터 및 Active‑Standby 설정 도입 → 단일 라우터 고장 시 자동 fail‑over
- 문서화: Network topology, port mapping, fail‑over 시나리오를 정리한 가이드 배포
- 여전히 물리적 사고(화재)에 대한 대비가 부족 → 데이터센터 방화벽, CCTV, 화재 진압 시스템 점검 주기 6개월
3️⃣ Incident Response & Business Continuity
- 알림 체계: SNMP Trap → SOC 티켓 자동 생성, SMS/Email 알림 설정
- 복구 단계:
1️⃣ 서비스 중단 알림 → SOC 팀 호출
2️⃣ 장애 범위 파악 →show logging및ping테스트
3️⃣ 백업 라우터 활성화 →router failover명령 실행
4️⃣ 사용자 통보 → 24시간 상태 페이지 업데이트 - 장기 계획:
- DRP (Disaster Recovery Plan) 업데이트 → 재해 시나리오별 복구 목표시간(TIME) 정의
- 정기 시뮬레이션: 월 1회 실제 장애 상황 모의, 결과 보고서 작성
마무리 팁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은 설정 검증과 중복성입니다. 정기적인 구성 리뷰와 자동화된 모니터링이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가능하게 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506&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모니터랩,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현 실증사업 참여 (0) | 2025.09.29 |
|---|---|
| [데일리시큐]잇따른 해킹에 불안…3년간 적발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게시물 64만 건 (0) | 2025.09.29 |
| [데일리시큐]국정자원 화재, 45시간 지났지만 여전히 정부24 등 주요 사이트 접속 불가 상태 (0) | 2025.09.28 |
| [보안뉴스]정부, “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구매 등 ‘문자사기’ 주의” (0) | 2025.09.28 |
| [보안뉴스][국정자원 화재] 특허청, 비상대응반 가동...전자출원 시스템 등 차질 대비 (0) | 2025.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