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요약
특허청은 대전센터 화재로 인한 비상대응반을 소집해 상황을 점검하고, 광주센터와 연결된 전자출원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법령에 따라 중간서류·수수료 제출 기한이 연장된 것을 안내하였다.
핵심 포인트
- 비상대응반(ERT)이 신속하게 출동해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절차를 진행했다.
- 전자출원 시스템( e‑Filing ) 장애로 인해 일부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며, 이로 인한 업무 지연이 발생했다.
- 법령에 따라 기한이 연장되었으므로, 제출 일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기술 세부 내용
1️⃣ Emergency Response Team (ERT)
1️⃣ 인시던트 탐지 – 화재 발생 알림, 센서 데이터, 직원 신고를 통해 초기 인시던트 감지.
2️⃣ 팀 활성화 – ERT 전담 인력(소방·정보보안·시스템 엔지니어)을 즉시 통합 매니저에게 보고.
3️⃣ 현장 평가 – 현장 사진·영상, 시스템 로그 수집, 피해 범위 파악.
4️⃣ 우선 대응 – 데이터 백업, 서버 전원 차단, 전력 공급 안정화.
5️⃣ 복구 실행 – 정상 운영 서버로 트래픽 전환, 장애 원인 제거(예: 물리적 파손 복구).
6️⃣ 사후 검토 – 사건 원인 분석, 대응 시나리오 업데이트, 정기 훈련 계획 수립.
2️⃣ Electronic Filing System (e‑Filing)
1️⃣ 시스템 구조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관계형 DB, 인증(디지털 서명) 및 인가 레이어.
2️⃣ 고가용성(HA) – 다중 서버 클러스터, 자동 장애 조치(HAProxy/Keepalived), 데이터 복제(Hot Standby).
3️⃣ 서비스 장애 시나리오
- 인증 실패 → 사용자 로그인 거부, 재인증 필요.
- 트랜잭션 중단 → 신청서 전송 오류, 재시도 로직 필요.
- DB 접근 불가 → 데이터베이스 복구 또는 스냅샷 복원.
4️⃣ 복구 절차
- 긴급 패치 → 보안 패치 적용 후 재시작.
- 백업 복원 → 최신 스냅샷으로 DB 복구, 무결성 검증.
- 서비스 재가동 → HA 모듈을 통해 자동 트래픽 전환, 상태 모니터링 재시작.
5️⃣ 운영 모니터링 – 실시간 대시보드(예: Grafana), 알림(Opsgenie/Slack), 로그 분석(ELK).
위 두 기술은 비상 상황에서의 신속 대응과 시스템 연속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이며, IT 전문가가 운영 정책 수립 시 반드시 숙지해야 할 부분입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505&kind=&sub_kind=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일리시큐]국정자원 화재, 45시간 지났지만 여전히 정부24 등 주요 사이트 접속 불가 상태 (0) | 2025.09.28 |
|---|---|
| [보안뉴스]정부, “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구매 등 ‘문자사기’ 주의” (0) | 2025.09.28 |
| [보안뉴스]연이은 상품권 관련 해킹...비플페이, 선불 충전 상품권 PIN 유출 (0) | 2025.09.28 |
| [주간이슈]불과 코드의 경계에서: 대전 화재, AI 보안, Cisco 패치 (0) | 2025.09.28 |
| [데일리시큐][속보] 대전 국정자원 화재로 70여개 공공망 먹통…카카오 판교 화재와 닮은꼴, 책임은 누가 지나 (0) | 2025.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