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2025년 CVE 발표 보안 권고문: 주요 취약점 요약 및 대응 방안

2025. 9. 30. 13:03·CVE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이 문서는 CVE-2025‑10822 ~ CVE-2025‑10840 과 기타 몇 가지 버그를 포함한 20여 개의 취약점 보고서를 분석합니다.
주요 취약 기술은 SQL Injection, XSS, 버퍼 오버플로우, OS Command Injection, Server‑Side Template Injection(SSTI), 그리고 인증/인가 오류입니다.
이러한 보안 결함이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방어 전략은 무엇인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SQL Injection: 대부분의 웹 어플리케이션(특히 “Campcodes”, “SourceCodester”)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취약점입니다.
  • XSS (Stored & Reflected): “PHPJabbers” 및 “Emarket‑design” 등에서 사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해 세션 탈취·피싱을 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공격 벡터: 버퍼 오버플로우(네트워크‑기반), OS Command Injection(인증된 사용자), SSTI(템플릿 엔진) 등, 한 시스템이 여러 유형을 동시에 노출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술 세부 내용

1️⃣ SQL Injection (SQLi)

  • 정의: 공격자가 데이터베이스 쿼리 문장에 악의적인 SQL 코드를 삽입해 데이터베이스에 무단 접근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공격.
  • 발생 경로
    1. 입력 파라미터(viewid, fromdate, ID, prodcode 등)가 그대로 SQL 쿼리 문자열에 포함된다.
    2. 입력값이 검증·이스케이프되지 않으므로, OR 1=1 같은 조건이 추가된다.
    3. 공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테이블을 삭제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우회할 수 있다.
  • CVE 사례
    • CVE‑2025‑10825 (Campcodes Beauty Parlor): /admin/view-appointment.php에서 viewid.
    • CVE‑2025‑10828 (Pet Grooming): /admin/edit.php에서 ID.
    • CVE‑2025‑10831 (Computer Sales): /pages/pro_edit1.php에서 prodcode.
  • 감지 방법
    • 정적 분석: 소스 코드에서 문자열 연결(., +)을 탐지.
    • 동적 분석: 웹 스캐너(OWASP ZAP, Burp Suite)로 인젝션 테스트.
  • 방어 조치
    1. 준비된 구문(Prepared Statements): MySQLi, PDO, 또는 ORM 사용 시 파라미터 바인딩을 필수로.
    2. 입력 유효성 검사(Input Validation): 숫자, UUID 등 기대형식에 맞는지 체크.
    3.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DB 사용자에게 SELECT/INSERT/UPDATE/DELETE가 필요한 최소 권한만 부여.
    4. 출력 인코딩(Output Encoding): 결과를 HTML로 출력 시 htmlspecialchars 등으로 인코딩.

2️⃣ Cross‑Site Scripting (XSS)

  • 정의: 악성 스크립트를 웹 페이지에 삽입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공격.
  • 유형
    • Reflected XSS: 요청 파라미터가 바로 응답에 반영되는 경우.
    • Stored XSS: 악성 스크립트가 DB에 저장돼 이후 모든 방문자에게 전달.
  • CVE 사례
    • CVE‑2025‑10837 (Simple Food Ordering): /ordersimple/order.php에서 ID → XSS.
    • CVE‑2025‑8902 (Widget Options‑Extended): do_sidebar 속성에 삽입되는 스크립트.
    • CVE‑2025‑10835 (Pet Grooming): /admin/view_payorder.php에서 ID.
  • 공격 흐름
    1. 공격자는 악성 HTML/JS를 파라미터에 삽입 (<script>alert('XSS')</script>).
    2. 서버는 입력값을 검증 없이 저장 → DB에 악성 코드가 존재.
    3. 사용자(A, B)가 페이지를 요청하면 스크립트가 실행돼 세션 쿠키 탈취, 무단 요청 전송 등이 발생.
  • 방어 전략
    1. 출력 인코딩(Output Encoding): htmlspecialchars, strip_tags 등을 사용해 모든 사용자 입력을 이스케이프.
    2. 콘텐츠 보안 정책(Content‑Security‑Policy, CSP): 스크립트 실행을 제한해 XSS 피해 최소화.
    3. 스크립트 삽입 차단: XSS‑Filter, OWASP Cheat Sheet 구현.

3️⃣ 버퍼 오버플로우 (Buffer Overflow)

  • 정의: 프로그램이 할당된 메모리 버퍼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기록해 인접 메모리 영역을 덮어쓰는 결함.
  • 전략
    1. 공격자는 wpapsk_crypto 같은 입력 필드에 과도한 길이의 문자열을 보낸다.
    2. 내부에서 버퍼에 길이를 검사하지 않으면 sub_45BB10(Tenda AC21)에서 스택/힙에 무결성 손상.
    3. 원격 코드 실행(예: 쉘 접근)이나 서비스 거부(Denial‑of‑Service) 가능.
  • CVE 사례
    • CVE‑2025‑10838 (Tenda AC21): /goform/WifiExtraSet의 wpapsk_crypto.
  • 방어 포인트
    1. 정규화(Validation): 입력 길이를 허용 범위 안에 두고 초과 시 트렁크 또는 거절.
    2. 보호 기술(DEP, ASLR, Stack Canaries): 운영체제/펌웨어에 적용해 악성 코드 실행 위험 감소.
    3. 코드 리뷰: 포인터 연산·strcpy, sprintf 사용 시 주의.

4️⃣ OS Command Injection

  • 정의: 사용자 입력이 운영 체제 명령행에 그대로 전달돼 임의의 명령을 실행하게 하는 공격.
  • CVE 사례
    • CVE‑2025‑8902 (Widget Options): 인증된 사용자가 do_sidebar 파라미터에 명령어 삽입.
    • CVE‑2025‑10380 (Advanced Views): Twig 템플릿에 {{ eval('php -r " ... "' ) }} 삽입.
  • 공격 단계
    1. 인증된 사용자(작성자/작가) → {{…}} 구문이 템플릿 엔진에 전달.
    2. 입력값이 필터링되지 않음 → PHP 코드 실행.
    3. 파일 시스템 접근, 백도어 설치 등 부정 행위 가능.
  • 방어 전략
    1. 액세스 제어 강화: 템플릿 편집/실행을 인증된 관리자에 한정.
    2. 템플릿 엔진 보안: Twig → {{ ... }} 구문 제한, autoescape 활성화.
    3. 서버 측 검증: 입력값을 정규식으로 제한하고 system() 등 위험 함수 사용 금지.

5️⃣ OS Command Injection

  • 정의: 웹 애플리케이션이 OS 쉘을 통해 시스템 명령을 실행할 때, 입력값이 이스케이프되지 않아 임의 명령이 실행되는 현상.
  • CVE 사례
    • CVE‑2025‑8902 (Widget Options): do_sidebar 매개변수에 system() 호출.
    • CVE‑2025‑10380 (Advanced Views): 인증된 사용자가 Twig 템플릿에 명령 삽입.
  • 감지 및 방어
    1. 정적 코드 분석: system(), exec(), shell_exec() 같은 함수 호출 탐지.
    2. 입력 검증: 명령어 문자열이 아니면 차단.
    3. 권한 최소화: 인증된 사용자에게 명령 실행 권한 부여 금지.

6️⃣ Server‑Side Template Injection (SSTI)

  • 정의: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그대로 템플릿 엔진에 전달해 서버 측 코드가 실행되는 공격.
  • 공격 흐름
    1. 사용자가 <%/{{ 구문에 PHP/JavaScript 코드 삽입.
    2. 템플릿 엔진이 이를 해석해 PHP/JS를 실행 → 데이터베이스 조작, 파일 생성 등.
  • CVE 사례
    • CVE‑10380 (Advanced Views): Twig 템플릿이 무단으로 실행 가능.
  • 방어 조치
    • 템플릿 접근 제어: 관리자 페이지에서만 편집 가능하도록 ACL 적용.
    • 화이트리스트(Whitelist): 허용되는 템플릿 구문만 허용하고, {{ 같은 임의 표현식 차단.
    • 템플릿 엔진 업데이트: 보안 패치가 적용된 최신 버전 사용.

7️⃣ Improper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 정의
    • Improper Authentication: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사이드)만으로 인증을 수행하거나, 인증 없이 민감 기능 접근 허용.
    • Improper Authorization: 인증 후에도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음.
  • CVE 사례
    • CVE‑2025‑8902 (Widget Options): 인증자가 do_sidebar를 통해 스크립트 삽입 가능.
    • CVE‑2025‑10380 (Advanced Views): 인증된 사용자(저자 이상)에게 SSTI 권한 부여.
    • CVE‑2025‑8902 (Widget Options) 및 CVE‑8902 같은 경우는 콘트리뷰터 레벨에서도 스크립트 삽입 가능.
  • 방어 전략
    1. 서버‑사이드 인증: 세션 쿠키, JWT, OAuth 등 서버에서 검증.
    2.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각 역할별 최소 권한 부여.
    3. 정책 검토: do_sidebar 같은 숏코드가 공개 API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근 제한.

8️⃣ Buffer Overflow

  • 정의: 입력 데이터가 버퍼 크기를 초과해 인접 메모리 영역을 덮어쓰는 취약점.
  • CVE 사례
    • CVE‑2025‑10838 (Tenda AC21): /goform/WifiExtraSet의 wpapsk_crypto 파라미터가 버퍼 오버플로우를 유발.
  • 감지
    • 코드 리뷰: strcpy, sprintf 등 버퍼를 초과할 수 있는 함수 사용 확인.
    • 정적 분석 도구: Coverity, Fortify.
  • 방어
    1. 보호된 문자열 복사: strncpy, snprintf 사용.
    2. DEP/ASLR: 데이터 실행 방지(DEP) 및 주소 공간 재배치(ASLR).

9️⃣ Remote Code Execution (RCE)

  • 정의: 원격으로 코드 실행을 트리거할 수 있는 취약점.
  • 공격 흐름
    • OS 명령 삽입 → 쉘/프롬프트 실행.
    • SSTI → PHP 코드 실행.
    • 버퍼 오버플로우 → 스택/힙에 악성 코드 삽입.
  • CVE 사례
    • CVE‑10380 (Advanced Views)와 CVE‑8902 (Widget Options) 등.
  • 방어
    • 입력 검증: 모든 사용자 입력에 대한 길이, 형식 제한.
    • 모든 사용자 기능 최소화: RCE 가능 포인트를 인증된 관리자에게 한정.

마무리

각각의 취약점은 정확한 입력 검증, 출력 인코딩, 최소 권한 원칙 그리고 정기적인 패치가 핵심입니다.
- 정책 수립: 보안 개발 지침(OWASP, NIST) 기반으로 내부 보안 정책 수립.
- 교육: 개발자·운영팀에 보안 교육 제공.
- 자동화: CI/CD 파이프라인에 보안 스캔 통합.

위 가이드를 활용해 시스템 전반에 걸친 보안 강화와 취약점 완화를 실천해 보세요.

 

출처: https://rebugui.tistory.com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CVE-2025-10822 ~ CVE-2025-10840: 다중 웹 애플리케이션 및 IoT 기기에서의 취약점 개요 및 대응 방안  (0) 2025.09.30
[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 **CVE‑2025‑36245 – IBM InfoSphere 11.7.0.0 – 11.7.1.6**  (0) 2025.09.30
[CVE 주간이슈]2025-08-11 ~ 2025-08-18 **Recent CVEs Unveiled: A Deep Dive into Linksys, OpenHarmony, and Beyond**  (3) 2025.08.18
[CVE 주간이슈]2025-08-04 ~ 2025-08-11 **Recent CVE Highlights: Critical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Patches (Last 7 Days)**  (0) 2025.08.11
[CVE 주간이슈]2025-07-28 ~ 2025-08-04 최근 7일간의 CVE 대규모 업데이트: 당신의 시스템은 안전한가요?  (5) 2025.08.04
'C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CVE-2025-10822 ~ CVE-2025-10840: 다중 웹 애플리케이션 및 IoT 기기에서의 취약점 개요 및 대응 방안
  • [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 **CVE‑2025‑36245 – IBM InfoSphere 11.7.0.0 – 11.7.1.6**
  • [CVE 주간이슈]2025-08-11 ~ 2025-08-18 **Recent CVEs Unveiled: A Deep Dive into Linksys, OpenHarmony, and Beyond**
  • [CVE 주간이슈]2025-08-04 ~ 2025-08-11 **Recent CVE Highlights: Critical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Patches (Last 7 Days)**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67)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1047)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CVE 주간이슈]2025-09-23 ~ 2025-09-30 2025년 CVE 발표 보안 권고문: 주요 취약점 요약 및 대응 방안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