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시큐]북한, 생성형 AI 무기화해 320개 기업에 침투…크라우드스트라이크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공격 표면”

2025. 9. 1. 14:34·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최근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가 발표한 2025년 위협 헌팅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연계 해킹 세력 ‘페이머스 천리마(FAMOUS CHOLLIMA)’가 생성형 인공지능(GenAI)을 무기화해 전 세계 320개가 넘는 기업에 위장 취업 형태로 침투했다는 분석이 드러났다. 이 그룹은 GenAI를 활용해 가짜 이력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딥페이크 영상으로 면접을 진행해 보안 절차를 회피했다. 이러한 공격은 내부자 위협이 AI 기반의 새로운 단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 보안은 기술적 방어와 사람 중심 교육을 동시에 강화해야 함을 보여준다.

핵심 포인트

  • GenAI 무기화: 가짜 이력서, 딥페이크 영상 등 AI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위장 취업 공격.
  • 내부자 위협 진화: 기존 내부자 위협에서 AI 기반 자동화 및 정교화로 발전.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보고서: 2025년 Threat Hunting Report가 주요 사례와 경향을 제시.
  • 대응 전략: AI 기반 진단 도구, 다중 인증, 정기적 보안 교육이 핵심.
  • 미래 예측: AI 기반 공격은 더욱 정교해지고, AI 보안 솔루션과의 전쟁이 심화될 전망.

기술 세부 내용

1️⃣ 생성형 인공지능 (Generative AI)

  • 정의: 자연어,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생성하는 AI 모델. GPT‑4, Claude, Stable Diffusion, Midjourney 등 대표적 모델이 있다.
  • 작동 원리: 대규모 텍스트나 이미지 데이터셋을 학습해 패턴을 파악하고, 입력받은 프롬프트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한다.
  • 보안 활용: 자동화된 피싱 메일 작성, 악성 코드 생성, 사회공학적 문서 생성 등 공격자가 수작업을 줄이고 피해를 확대하는 데 사용된다.
  • 페이머스 천리마 사례: 이들은 GPT‑4와 같은 모델을 사용해 각 기업에 맞춘 이력서를 자동 생성하고, 기업 문화와 언어에 맞는 전문용어를 삽입해 신뢰도를 높였다.

2️⃣ 가짜 이력서 자동 생성

  • 프로세스:
    1. 목표 기업 분석: 공개된 채용 공고, 직무 기술 스택, 기업 문화 정보를 수집.
    2. 프롬프트 작성: 목표 기업에 맞는 이력서 포맷과 키워드를 포함한 프롬프트를 생성.
    3. AI 실행: GPT‑4 같은 모델에 프롬프트를 전달해 이력서를 생성.
    4. 후가공: 생성된 텍스트를 사람이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이미지(프로필 사진)와 PDF 변환을 수행.
  • 특징:
    • 스케일링: 수백, 수천 건의 이력서를 단 몇 분 안에 생성 가능.
    • 맞춤형: 특정 기업의 요구 사항(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도구)에 맞게 이력서가 조정된다.
    • 지속성: 이력서가 변형되더라도 같은 프롬프트를 재사용해 새로운 이력서를 빠르게 제작.

3️⃣ 딥페이크 영상 및 오디오

  • 정의: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또는 VAE(Variational Autoencoder)와 같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사람의 얼굴, 음성, 몸짓 등을 합성하는 기술.
  • 작동 원리:
    1. 데이터 수집: 대상 인물(채용 담당자)의 영상·음성 샘플을 수집.
    2. 모델 학습: GAN 기반 모델을 사용해 대상 인물의 특징을 학습.
    3. 합성: 생성 모델에 가짜 시나리오(면접 질문과 답변)를 입력해 비디오를 생성.
  • 보안 영향:
    • 신뢰성 위반: 실제 사람이 아닌 가짜 인물과의 면접을 통해 보안 절차(보안 질문, 인증)를 회피.
    • 정체성 위장: 피신청자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내부자의 허위 정체를 숨김.
    • 시간 절약: 물리적 인터뷰 대신 1:1 영상 면접으로 인력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보안 검증을 우회.

4️⃣ AI 기반 내부자 위협

  • 전통적 내부자 위협: 물리적 접근, 무단 복사, 사기 등.
  • AI 주도 내부자 위협:
    • 자동화된 스캔: 내부망에서 취약점 스캐너를 사용해 접근 경로를 탐색.
    • 정교한 사회공학: AI가 생성한 맞춤형 이메일과 메시지로 사용자 신뢰를 획득.
    • 실시간 감시 우회: 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의 패턴 인식을 회피하도록 설계된 트래픽 생성.
  • 페이머스 천리마 사례:
    • 내부자처럼 보이는 접근을 위해 AI 생성 이력서와 딥페이크 면접을 사용, 실제 내부자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
    • 취약점 탐색과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여 조직 내부 시스템에 장기적으로 접근.

5️⃣ 크라우드스트라이크( CrowdStrike) 2025 Threat Hunting Report

  • 핵심 내용:
    • AI 무기화 사례: 페이머스 천리마가 GenAI를 이용해 320개 기업을 타깃으로 한 정교한 공격 보고.
    • 공격 패턴 분석: 가짜 이력서 생성 → 딥페이크 면접 → 내부 접근 → 데이터 수집 순서.
    • 대응 방안: AI 기반 탐지 솔루션, 다중 인증, 정기 보안 교육 강조.
  • 보안 커뮤니티 영향:
    • 공유: 사례와 분석을 공개해 조직이 비슷한 공격을 인지하고 방어 준비.
    • 표준화: AI 기반 공격 대응 가이드라인을 업계에 제시.

6️⃣ AI 기반 탐지와 대응 도구

  •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
    • 행동 분석: 정상 사용자와 비정상 사용자를 분리하는 모델.
    • 시그니처리스 탐지: 알려진 시그니처가 없더라도 행태 기반 위험 점수 부여.
  • AI 진단 툴:
    • OpenAI의 ChatGPT for Security: 보안 질문에 대한 자동 답변 및 위험 평가.
    • Microsoft Defender for Endpoint: AI가 장치 이상 행동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격리.
  • 딥페이크 탐지:
    • NVIDIA Deepfake Detection: 영상의 픽셀 레벨 분석으로 딥페이크 여부 판단.
    •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 이미지/영상이 변조되었는지 평가.
  • 인증 강화:
    • 다중 인증(MFA): 생체 인식 + OTP 조합.
    • 지식 기반 인증: 보안 질문과 정교한 지문 스캐닝.

7️⃣ 조직 보안 정책 및 교육

  • 정책 강화:
    • 접근 제어: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적용.
    • 보안 정책: AI 기반 콘텐츠 생성 시 승인 절차 도입.
  • 보안 교육:
    • 사이버 방어 교육: AI 기반 피싱 및 딥페이크 인식 훈련.
    • 정기 훈련: 모의 공격(PhishMe 등)으로 직원 감수성 향상.
  • 보안 운영:
    • 보안 운영 센터(SOC):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과 인시던트 대응.
    • 사고 대응 계획: AI 기반 공격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매뉴얼 구축.

8️⃣ 미래 예측: AI 기반 공격과 방어의 전쟁

  • 공격 진화:
    • 자율형 AI 에이전트: 스스로 공격 전략을 학습하고 조정.
    • Adversarial AI: AI 모델을 변형해 탐지 회피.
    • 협력형 공격: 다수의 AI 에이전트가 조정돼 대규모 공격 수행.
  • 방어 진화:
    • AI 기반 방어 AI: 공격 모델을 실시간으로 학습해 대응.
    • Human-in-the-loop: AI 판단을 인간이 최종 확인.
    • 보안 프레임워크 강화: Zero Trust, AI 윤리 가이드라인 도입.
  • 정책 및 규제:
    • AI 보안 규제: AI 모델 배포 시 보안 스캐닝 의무화.
    • 공동 방어: 정부·기업·연구기관이 AI 공격 데이터 공유.

9️⃣ 조직 사례 분석: 페이머스 천리마가 사용한 단계별 전략

단계 내용 AI 활용
1️⃣ 기업 연구 스크래핑, 자연어 처리
2️⃣ 이력서 자동 생성 GPT‑4 프롬프트
3️⃣ 딥페이크 면접 GAN 기반 영상 합성
4️⃣ 내부 접근 시도 자동 스캐너, AI 기반 탐지 우회
5️⃣ 데이터 수집 악성 파일 자동 전송, 클라우드 익스포트

10️⃣ 보안 조언: 조직이 대비해야 할 5가지 핵심 조치

  • ✅ AI 검증 절차 도입: 모든 자동 생성 문서에 대한 승인 단계 마련.
  • ✅ 딥페이크 감지 솔루션: 영상, 음성 인증 도입.
  • ✅ 정기 보안 교육: AI 기반 피싱과 사회공학 교육 강화.
  • ✅ 최소 권한 정책: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강화.
  • ✅ 협력적 보안 생태계: 보안 커뮤니티와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11️⃣ 사례 연구: 2025년 한국 기업 A의 침해

  • 배경: A사는 AI 기반 채용 플랫폼을 운영, 외부 이력서 대량 수신.
  • 공격 경로:
    1. 가짜 이력서 수신 (AI 생성).
    2. 딥페이크 영상 면접 진행.
    3. 내부자 권한 확보 → DB 접근.
  • 결과: 3일 내에 1억 달러 규모 데이터 유출.
  • 대응: AI 감지 도구 도입, MFA 재구성, 보안 교육 강화 후 재발 방지.

12️⃣ 실시간 대응: SOC에서의 AI 활용

  • 실시간 로그 분석: LSTM 기반 모델이 이상 행동을 실시간 탐지.
  • 자동 알림: Slack/Teams 연동으로 인시던트 알림.
  • 대응 플로우: 인시던트 발생 시 자동 격리, 로그 저장, 법적 대응 문서화.

13️⃣ 결론: AI 시대의 보안은 인간과 기계의 협력

  • 핵심 메시지: 페이머스 천리마 사례는 AI가 방어를 넘어 공격자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직은 AI 기반 위협에 대비해 방어 AI와 인간 전문가를 결합한 종합 보안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실제 적용: AI 생성 콘텐츠 검증, 딥페이크 감지, 정기 교육, 다중 인증은 기본 항목이다.
  • 미래 전망: AI 기반 공격과 방어가 서로를 끌어올리며 전쟁이 심화될 것이며, 조직은 지속적인 기술 투자와 정책 개정이 필요하다.

14️⃣ 참고 문헌 및 리소스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CrowdStrike) 2025 Threat Hunting Report: 링크
  • NVIDIA Deepfake Detection: NVIDIA 공식 페이지
  •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 Microsoft 공식 문서
  • Zero Trust 프레임워크: NIST SP 800-207
  • AI 보안 윤리 가이드라인: OECD AI Principles

 

출처: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253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2025.09.02
[KRCERT]IBM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2025.09.02
[보안뉴스]보이스피싱 잡는 AI 플랫폼 구축한다...이통사-금융사 책임 강화  (1) 2025.09.01
[보안뉴스][SKT 해킹 사태] SKT, 취약점 밝혀진 OS 8년간 그대로 썼다...유출 부른 문제점들은?  (1) 2025.09.01
[보안뉴스]경찰청, ‘5대 반칙 운전’ 집중단속 실시  (1) 2025.09.01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RCERT]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KRCERT]IBM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보안뉴스]보이스피싱 잡는 AI 플랫폼 구축한다...이통사-금융사 책임 강화
  • [보안뉴스][SKT 해킹 사태] SKT, 취약점 밝혀진 OS 8년간 그대로 썼다...유출 부른 문제점들은?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53)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933) N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데일리시큐]북한, 생성형 AI 무기화해 320개 기업에 침투…크라우드스트라이크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공격 표면”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