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CERT]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2025. 9. 2. 09:13·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Citrix는 2025년 8월 28일 기준, NetScaler ADC와 NetScaler Gateway에서 발견된 세 가지 심각한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 메모리 오버플로우 취약점 (CVE‑2025‑7775, CVE‑2025‑7776)
- 부적절한 액세스 제어 취약점 (CVE‑2025‑8424)

이러한 취약점은 원격 코드 실행 및 권한 상승을 가능하게 하므로, 해당 버전을 사용 중인 고객은 즉시 최신 버전으로 패치를 적용해야 합니다. 업데이트는 Citrix 공식 지원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며,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118)를 통해 추가 문의가 가능합니다.


핵심 포인트

  • 메모리 오버플로우로 인해 공격자는 무제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 액세스 제어 결함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관리자 권한을 획득할 수 있게 함.
  • NetScaler ADC 및 NetScaler Gateway의 특정 버전이 취약함.
  • 최신 버전(14.1‑47.48, 13.1‑59.22, 13.1‑37.241‑FIPS, 12.1‑55.330‑FIPS, 13.1‑NDcPP, 12.1‑NDcPP)으로 업그레이드 권고.
  • 업데이트는 Citrix 지원 사이트(CTX694938)에서 다운로드 가능.
  • KISA 사이버민원센터(118)에서 추가 도움을 받을 수 있음.

기술 세부 내용

1️⃣ CVE‑2025‑7775: NetScaler ADC 메모리 오버플로우

이 취약점은 NetScaler ADC의 HTTP 요청 처리 모듈에서 특정 헤더 파싱 시 버퍼 경계 검사가 부적절하게 구현되어 있어 발생합니다. 공격자는 과도하게 긴 헤더 값을 주입하면 내부 스택 메모리가 덮어쓰여 악의적인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공격 벡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HTTPS/HTTP 트래픽
- 이점: 인증을 우회한 뒤, 공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시스템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원격 제어 세션을 확보할 수 있음
- 방어 전략: 최신 패치 적용, 입력 검증 강화, WAF를 통한 필터링
- 예방 조치: 취약점이 포함된 버전을 사용 중인 경우 즉시 패치, 그리고 서비스 레벨에서 IP 화이트리스트 적용

2️⃣ CVE‑2025‑7776: NetScaler Gateway 메모리 오버플로우

NetScaler Gateway의 인증 토큰 처리 로직에서 버퍼 오버플로우가 존재합니다. 악의적인 토큰을 포함한 요청을 보내면 스택이 손상되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공격 시나리오: VPN 클라이언트 연결 시 악성 토큰 삽입, 원격 공격자에게 완전 제어권 부여
- 위험 등급: Critical (CVSS 9.8)
- 보호 조치: 최신 패치 설치, VPN 접속 IP 제한, TLS 1.3 사용 강화
- 로그 분석: 비정상 토큰 패턴, 인증 실패율 급증 등을 모니터링

3️⃣ CVE‑2025‑8424: NetScaler ADC & Gateway 부적절한 액세스 제어

이 취약점은 내부 API 엔드포인트에 대한 권한 검사가 부실하게 구현돼 있어, 인증된 사용자라도 관리자 수준 권한이 필요없는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공격 흐름: 인증된 유저가 특정 엔드포인트를 호출 → 권한 부여 확인 없이 리소스 반환
- 가능한 피해: 민감 데이터 노출, 설정 변경, 서비스 중단
- 개선 포인트: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재검토, 엔드포인트별 최소 권한 적용, 세션 관리 강화

4️⃣ 영향 범위 및 버전 매핑

제품 취약점 영향받는 버전 해결 버전
NetScaler ADC CVE‑2025‑7775 14.1‑47.48 이하 14.1‑47.48
NetScaler ADC CVE‑2025‑7776 13.1‑59.22 이하 13.1‑59.22
NetScaler ADC CVE‑2025‑8424 13.1‑37.241‑FIPS 이하 13.1‑37.241‑FIPS
NetScaler ADC CVE‑2025‑8424 12.1‑55.330‑FIPS 이하 12.1‑55.330‑FIPS
NetScaler ADC CVE‑2025‑8424 13.1‑NDcPP 이하 13.1‑NDcPP
NetScaler ADC CVE‑2025‑8424 12.1‑NDcPP 이하 12.1‑NDcPP
NetScaler Gateway CVE‑2025‑7775 14.1‑47.48 이하 14.1‑47.48
NetScaler Gateway CVE‑2025‑7776 13.1‑59.22 이하 13.1‑59.22

주의: 위 표는 2025년 8월 28일 기준이며, 이후 패치 릴리스가 있을 경우 버전 번호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신 정보를 Citrix 지원 포털에서 확인하세요.

5️⃣ 패치 적용 절차

  1. 현황 점검
    • show version 명령으로 현재 버전 확인
    • 취약점이 포함된 버전인지 비교
  2. 백업
    • 설정 파일(nsconfig), 인증서, 인증 토큰 등 중요 데이터 백업
  3. 패치 다운로드
    • Citrix 공식 지원 페이지(CTX694938)에서 패치 파일 확보
  4. 적용
    • nsupdate 또는 scp를 이용해 업그레이드
    • 재부팅 필요 여부 확인 후 실행
  5. 검증
    • show version으로 버전 확인
    • 취약점 탐지 툴(예: OpenVAS, Nessus)으로 재스캔
  6. 운영 재개
    • 서비스 정상 동작 여부, 로그 확인

TIP: 패치 중단 없이 롤링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가용성 높은 환경을 설계하세요.

6️⃣ 업데이트 검증 방법

  • 로그 모니터링: /var/log/nsconfig.log에서 업그레이드 기록 확인
  • Vulnerability Scanner: NVD 또는 내부 스캔 도구로 CVE 검출 여부 재검증
  • 화이트보드 테스트: 내부 공격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약점이 실제로 제거됐는지 확인

7️⃣ 모니터링 및 인시던트 대응

  • 트래픽 분석: 비정상적인 HTTP 헤더 길이, 토큰 패턴 모니터링
  • 접근 로그: /var/log/access.log에서 권한 상승 시도 감지
  • 알림 설정: Zabbix, Prometheus 등에서 CVE‑2025‑7775/7776/8424 관련 이벤트 발생 시 알림
  • 대응 절차:
    1. 의심 트래픽 차단
    2. 상세 분석 및 복구 조치
    3. 사후 보고서 작성

8️⃣ Citrix 지원 리소스

  • 공식 지원 포털: https://support.citrix.com/support-home/kbsearch/article?articleNumber=CTX694938
  • CVE 데이터베이스: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5-7775,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5-7776,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5-8424
  • 커뮤니티 포럼: Citrix Community에서 최신 패치와 보안 권고사항 공유
  • KISA 사이버민원센터: 118(국번없이) – 보안 사고 신고 및 상담

9️⃣ FAQ

Q1. 패치 적용 후 기존 설정이 사라질까?
A1. 대부분의 경우 설정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설정 파일을 백업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멀티-클러스터 환경에서는 어떻게 패치를 적용하나요?
A2. 각 노드에 순차적으로 패치를 적용하고, 마스터 노드가 정상 동작하면 클러스터를 재조정합니다.

Q3. 패치 적용 시 다운타임이 발생하나요?
A3.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재부팅이 필요하지만, 롤링 업데이트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Q4. 패치가 완료된 후에도 여전히 취약점이 남아 있나요?
A4. 패치가 적용되면 CVE에 해당하는 취약점은 제거됩니다. 다만, 다른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보안 점검이 필요합니다.

10️⃣ 결론

Citrix NetScaler ADC와 Gateway는 기업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2025년 8월 28일 발표된 보안 업데이트는 메모리 오버플로우와 부적절한 액세스 제어라는 두 가지 핵심 취약점을 제거합니다.
- 메모리 오버플로우는 원격 코드 실행과 완전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기업 데이터와 인프라를 심각하게 위협합니다.
- 액세스 제어 결함은 권한 없는 사용자가 관리자 리소스에 접근하도록 허용합니다.

이러한 취약점은 즉각적인 패치를 통해 완전히 해결됩니다. 따라서, 현재 해당 버전을 운영 중인 모든 조직은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로그와 스캔 도구를 통해 패치가 제대로 적용됐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보안은 한 번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Citrix가 제공하는 보안 가이드와 커뮤니티, 그리고 국내 KISA 사이버민원센터와 같은 기관의 지원을 활용해 체계적인 보안 운영을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s://knvd.krcert.or.kr/detailSecNo.do?IDX=6570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대통령령 의결...AI 컨트롤타워 출범 임박  (0) 2025.09.02
[보안뉴스]로봇 청소기가 찍은 집안 사진, 외부 유출된다면?...일부 제품 보안 취약점  (0) 2025.09.02
[KRCERT]IBM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2025.09.02
[데일리시큐]북한, 생성형 AI 무기화해 320개 기업에 침투…크라우드스트라이크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공격 표면”  (2) 2025.09.01
[보안뉴스]보이스피싱 잡는 AI 플랫폼 구축한다...이통사-금융사 책임 강화  (1) 2025.09.01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대통령령 의결...AI 컨트롤타워 출범 임박
  • [보안뉴스]로봇 청소기가 찍은 집안 사진, 외부 유출된다면?...일부 제품 보안 취약점
  • [KRCERT]IBM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데일리시큐]북한, 생성형 AI 무기화해 320개 기업에 침투…크라우드스트라이크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공격 표면”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42)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825) N
      • CVE (10)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KRCERT]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