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서울 구로구는 신도림 지하보도에 U‑형 길말뚝(bollard)과 과속 방지턱(speed bump)을 설치해 이륜차의 무단 주행을 차단하고 보행자 안전을 강화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U‑형 bollard: 보행자 통로와 차량 진입로를 물리적으로 구분
- 과속 방지턱: 2륜차의 속도를 자연스럽게 낮춰 충돌 위험 감소
- 보행자 우선 설계: 두 기술이 결합돼 도심 지하보도에서의 안전 기준을 한 단계 끌어올림
기술 세부 내용
1️⃣ U‑형 길말뚝 (Bollard)
- 설계 목표: 보행자 전용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면서도 가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식 혹은 일체형 구조를 채택
- 재질: 방식산(ABS) 혹은 강재 + 방청 처리,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유지보수 최소화
- 설치 절차
- 현장 조정 – 지하보도 길이와 폭을 측정, 설치 간격(≈3m) 정리
- 기초 작업 – 지반 보강 및 콘크리트 기초 타설
- 볼라드 삽입 – 1~2m 깊이로 삽입 후, 상부 패널 부착
- 마감 처리 – 표면 스테인리스 코팅으로 부식 방지, 색상(회색) 지정
- 운영 효과
- 차량 접근 차단 → 보행자 사고율 30% 감소
- 인명 및 재산 피해 최소화
2️⃣ 과속 방지턱 (Speed Bump)
- 설계 목표: 두륜차 속도를 5km/h 이하로 감소시켜 보행자 충돌 위험을 낮춤
- 재질: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 + 방지 미끄럼 코팅, 방진 설계
- 설치 절차
- 위치 선정 – 보행자 밀집 구간(출입구, 교차점) 중심
- 토양 평탄화 – 지면 높이 조정 후 패널 부착
- 패널 고정 – 경량 플라스틱 프레임에 사출 금속 고정핀 사용
- 안전 표시 – LED 또는 반사 재료 부착, ‘주행 제한’ 표지판 설치
- 운영 효과
- 평균 속도 20% 감소 → 사고 확률 25% 감소
- 보행자 충돌 시 에너지 흡수 효과로 부상 완화
이 두 기술은 상호 보완적이며, 신도림 지하보도의 보행자 안전 환경을 체계적으로 강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168&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개인정보위, 논란 증폭 KT-LG유플러스 조사 착수 (0) | 2025.09.10 |
---|---|
[보안뉴스]양천구, ‘안전한 도시’ 위한 24시간 재난안전상황실 본격 가동 (0) | 2025.09.10 |
[보안뉴스]서울시, 1인 점포 안전 위한 안심경광등 설치 접수 (0) | 2025.09.10 |
[보안뉴스]‘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나선 정예 5팀, 프로젝트 착수 (0) | 2025.09.09 |
[보안뉴스]경기도, 경기융합타운 CCTV에 AI 기반 영상인식 시스템 시범 도입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