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이동통신사에서 시작해 연구기관·정부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10년간 약 2700건의 해킹 사건이 확인되면서 국가 안보 차원의 대응과 보안 체계 재정립이 절실합니다.
핵심 포인트
- 공격 범위가 폭넓어짐 – 모바일 네트워크뿐 아니라 연구소·정부기관까지 침해 사례가 증가
- 대규모 공격 기록 – 지난 10년 동안 2700여 건이 검출돼 방어 역량 부족을 시사
- 전방위 보안 재설계 필요 – 국가 안보와 산업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종합적 방어 체계 구축 요구
기술 세부 내용
1️⃣ 공격 벡터와 보안 취약점
단계 | 내용 | 주요 포인트 |
---|---|---|
1️⃣ 탐지 | 로그·네트워크 흐름에서 비정상 패턴 인식 | IDS/IPS 활용, 실시간 모니터링 필수 |
2️⃣ 분석 | 패킷 캡처·해시 비교, 악성코드 샘플 분석 | Threat Hunting 도구(Zeek, Suricata) 활용 |
3️⃣ 대응 | 인시던트 대응팀과 SOC 협업, 샌드박스 격리 | CISA 지침에 따른 단계별 프로세스 적용 |
4️⃣ 복구 | 시스템 백업, 패치 적용, 보안 설정 재구성 | 백업 정책 재검토, 자동 패치 매니지먼트 도입 |
2️⃣ ️ 연구기관·정부기관의 보안 리스크
- 공유 인프라 – 중앙 DB,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시 포인트 증가
- 인적 요인 – 내부자 위협 및 피싱 공격 빈도 상승
- 규제 미비 – 개인정보·기밀정보 보호 기준이 구식인 경우가 다수
- 대응 체계 부재 – 인시던트 보고 체계와 대응 매뉴얼이 분산되어 있음
3️⃣ 국가 차원의 보안 재정립 방안
- 정책·규제 강화 – 사이버 보안 법령 개정, 인프라별 리스크 분류표 수립
- 공공‑민간 협업 – CERT‑K, 국내 벤처·연구기관 연계 보안 생태계 구축
- 지속적 교육·인력양성 – 사이버 보안 인력 1인당 교육 시간 확대, 정기 워크숍 개최
- 공동 대응 시나리오 – 시뮬레이션 기반 인시던트 대응 훈련, 실시간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이러한 단계별 접근과 체계적 보안 정책 재정립이 없으면 전방위적 공격은 계속해서 국가 안보와 산업 전반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입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261&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추락·끼임·질식·외국인 등 4대 사망사고... AI로 고위험사업장 집중 관리 (1) | 2025.09.16 |
---|---|
[보안뉴스]이해민 의원, ‘공공 SW 적정대가 현실화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0) | 2025.09.15 |
[KRCERT]삼성전자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9.15 |
[보안뉴스]드론·화생방 등 신종 테러에 군·관·경·소방이 함께 정부대전청사 방호 (0) | 2025.09.15 |
[보안뉴스]지하공간 작업자 생명 지키는 ‘서울형 안전조끼’ 배부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