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군·관·경·소방 8개 기관이 협업해 ‘청사 통합방호훈련’을 진행, 경찰특공대 헬기를 활용한 신속 출동·테러 진압 방안을 실전 수준으로 검증했다.
핵심 포인트
- 통합 방호 체계 구축: 군, 경찰, 소방, 관할 관청, 중앙정부 기관이 공동으로 대응 프로토콜을 수립·시행했다.
- 헬리콥터 기반 신속 출동: 경찰특공대 헬기가 공중·지상 테러 위협에 대해 15분 이내에 현장 도착을 시연했다.
- 통합 C2(명령·통제) 시스템: 실시간 상황 공유·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IT 기반 통합 명령·통제 구조가 적용되었다.
기술 세부 내용
1️⃣ Integrated Command & Control (C2) System
- 전용 통합 플랫폼: 각 기관의 상황 파악 화면을 하나의 대시보드에 통합, 실시간 상황 공유를 실현.
- 다중 채널 통신: 비상용 라디오, 위성통신, 5G 데이터 채널을 동시 사용해 연결 중단 위험 최소화.
- 권한 기반 접근 제어: 사용자별 역할(예: 지휘관, 현장요원, 지원팀)에 따라 데이터 접근 권한을 설정, 정보 유출 방지.
- 시나리오 기반 시뮬레이션: 훈련 전 가상 시나리오로 대응 절차를 사전 점검, 실제 상황 시뮬레이션과 일치하도록 최적화.
2️⃣ Rapid Deployment Helicopter Operations
- 출동 프로토콜: 훈련 현장에서 헬리콥터 출동 요청은 즉시 C2 시스템에 등록 → 자동 라우팅 및 비상 경로 승인.
- 공중·지상 협업: 지상 특공대와 무선 채널을 통해 부착/착륙 지점, 물자 재급 등 실시간 조율.
- 무장·장비 사전 점검: 헬리콥터는 사전 점검 체크리스트(연료, 무장, 항공기 내부 통신 장비)를 통과해야 출동.
- 테러 시나리오 대응: 특정 테러 시나리오(폭탄 설치, 인질 상황)에서 헬리콥터를 통한 즉각적 투입 및 물자 투여가 시연되었다.
주요 효과
- 15분 이내 현장 도착으로 테러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킴.
- IT 기반 통합 C2로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하고, 부서 간 오해를 방지.
- 실전 시나리오에 기반한 반복 훈련으로 각 기관 간 협업 역량을 극대화.
향후 과제
- AI 기반 상황 예측 모델을 C2 시스템에 통합해 사전 대응 가능성 강화.
- 다중 헬리콥터 동시 운용 시 스케줄링 알고리즘 개발.
키워드: Integrated C2, Rapid Deployment Helicopter, Inter‑Agency Collaboration, Real‑time Communication, 5G, 5G‑enabled Command Center, Helicopter Rapid Response, 테러 대응.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248&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국가 연구기관 10년간 해킹 시도 2776건...“SKT·KT는 빙산의 일각” (0) | 2025.09.15 |
---|---|
[KRCERT]삼성전자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5.09.15 |
[보안뉴스]지하공간 작업자 생명 지키는 ‘서울형 안전조끼’ 배부 (0) | 2025.09.15 |
[보안뉴스]개인정보위-한국CPO협의회, AI 혁신과 프라이버시 선순환 생태계 조성 나서 (0) | 2025.09.15 |
[보안뉴스]개인정보위, 글로벌 감독기구·기업들과 ‘오픈소스 AI와 프라이버시’ 논의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