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지하공간 작업자 생명 지키는 ‘서울형 안전조끼’ 배부

2025. 9. 15. 17:12·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서울시는 지하공간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바디캠·무전기·가스농도측정기 등 필수 장비를 한 번에 보관·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안전조끼를 개발·배포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장비 보관공간이 충분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통합 장비 보관: 안전조끼에 가스 측정기, 무전기, 바디캠을 배치해 무거운 장비를 별도 운반할 필요 없음.
  • 실시간 상황 인식: 바디캠 영상과 가스농도 데이터가 무전기로 즉시 전송되어 현장 관리자가 현황을 즉시 파악.
  • 응급 대응 강화: 통합된 장비와 사전 준비된 비상용품으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

기술 세부 내용

1️⃣ Custom Safety Vest (맞춤형 안전조끼)

  • 설계 목적: 지하공간에서의 장비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수 장비를 모두 한 번에 보관·운용 가능하도록 설계.
  • 주요 기능
    • 장비 포켓 – 가스농도측정기, 무전기, 바디캠, 비상용품(소화기, 비상 신호등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
    • 충격 흡수 패딩 – 낙하·충돌 시 신체를 보호하는 에어캡슐 패딩을 적용.
    • 통합 전원 공급 – 배터리 팩이 내장돼 각 장비를 동시에 충전·전원 공급 가능.
    • 내구성 – 방수·방진 소재(고밀도 폴리프로필렌) 사용으로 토양·물, 먼지에 강함.

2️⃣ Body Camera (바디캠)

  • 설계 목표: 현장 상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기록·전송, 사고 발생 시 증거 확보와 즉각적 조치.
  • 핵심 사양
    • 해상도 – 4K 영상과 1080p 정지 이미지 제공.
    • 저전력 모드 –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필요 시 자동 절전 모드 전환.
    • 방수/방진 등급 – IP67 등급으로 지하수·진흙 환경에서도 안정적 동작.
    • 무선 전송 – Wi‑Fi 6 및 5G 모듈을 탑재해 무전기와 연동, 현장 관리자의 모바일로 즉시 전송.

3️⃣ Walkie‑Talkie (무전기)

  • 통신 체계
    • 주파수 – 비상용 2.4 GHz 대역을 사용해 내부 통신 충돌 최소화.
    • 음성 압축 – G.729 코덱으로 저전송량·고품질 음성 제공.
    • 배터리 수명 – 48시간 이상 연속 사용 가능, 배터리 교체가 쉽도록 모듈형 설계.
  • 특화 기능
    • 위치 추적 – 내부 GPS 및 Wi‑Fi 기반 실내 위치 측정.
    • 긴급 호출 – SOS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모든 무전기와 바디캠에 긴급 알림 전송.

4️⃣ Gas Concentration Meter (가스농도측정기)

  • 센서
    • 다중 가스 검출 – CO, H₂S, SO₂ 등 5종 이상의 가스를 한 번에 측정.
    • 정밀도 – ±5 ppm 범위 내에서 측정 가능.
  • 데이터 처리
    • 알람 – 미리 설정된 농도 임계값을 초과하면 무전기·바디캠으로 즉시 알림 전송.
    • 저장 – 로컬 메모리 2GB, 장비 수리 전 데이터 추출 가능.

5️⃣ 비상용품 포켓

  • 내용물
    • 소화기(클래스 B, C), 비상 신호등, 구조용 가이드라인, 응급 처치 키트 등.
  • 배치
    • 접근이 용이하도록 허리와 팔꿈치 부근에 위치, 작업 중 즉시 인출 가능.

이렇게 통합된 장비와 안전조끼는 지하공간 작업자의 사고 예방과 신속 대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향후 비슷한 작업 환경에서의 적용 확대가 기대됩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250&kind=&sub_kind=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CERT]삼성전자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2025.09.15
[보안뉴스]드론·화생방 등 신종 테러에 군·관·경·소방이 함께 정부대전청사 방호  (0) 2025.09.15
[보안뉴스]개인정보위-한국CPO협의회, AI 혁신과 프라이버시 선순환 생태계 조성 나서  (0) 2025.09.15
[보안뉴스]개인정보위, 글로벌 감독기구·기업들과 ‘오픈소스 AI와 프라이버시’ 논의  (0) 2025.09.15
[데일리시큐]KISA, ‘2025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모집  (0) 2025.09.15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RCERT]삼성전자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보안뉴스]드론·화생방 등 신종 테러에 군·관·경·소방이 함께 정부대전청사 방호
  • [보안뉴스]개인정보위-한국CPO협의회, AI 혁신과 프라이버시 선순환 생태계 조성 나서
  • [보안뉴스]개인정보위, 글로벌 감독기구·기업들과 ‘오픈소스 AI와 프라이버시’ 논의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53) N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933) N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보안뉴스]지하공간 작업자 생명 지키는 ‘서울형 안전조끼’ 배부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