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9-25)

2025. 9. 26. 07:07·보안이슈
728x90
반응형

내용 요약

KEV(Kept‑en‑Vulnerability) due date는 2025‑09‑26에 정해져 있으며, FCEB 기관은 이 시점까지 ED 25‑03에서 제시한 지침을 검토·구현해야 합니다. Cisco Secure Firewall 제품군(ASA, FTD)에서 발견된 버퍼 오버플로우(CVE‑2025‑20333)와 권한 부재(CVE‑2025‑20362) 취약점을 CISA와 공급업체 지침에 따라 패치하거나 사용 중단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 KEV due date: 2025‑09‑26, ED 25‑03 실행 시점
  • CISA & vendor mitigation: 단계별 대응 절차 제공, BOD 22‑01 가이드 적용
  • Cisco ASA/FTD 취약점: 버퍼 오버플로우(CVE‑2025‑20333)·권한 부재(CVE‑2025‑20362)와 연쇄 공격 가능성

기술 세부 내용

1️⃣ ED 25‑03 (Emergency Directive 25‑03)

  • 목적: KEV에 포함된 취약점에 대한 신속 대응을 명시
  • 핵심 단계
    1. 검토 – 모든 FCEB 기관이 지침과 요구사항을 숙지
    2. 구현 – CISA가 제공하는 Mitigation Steps를 적용
    3. 확인 – 적용 완료 후 내부 감사 및 보고
  • 예시 URL: ED 25‑03 문서 링크(Notes에 명시)

2️⃣ Cisco Secure Firewall Vulnerabilities

  • 버퍼 오버플로우 (CVE‑2025‑20333)
    • 취약 환경: ASA Appliance, FTD Software VPN Web Server
    • 공격 흐름
      1. 악의적 패킷 전송 → 버퍼 오버플로우 발생
      2. 원격 코드 실행 가능
      3. 연쇄: CVE‑2025‑20362와 결합해 추가 권한 상승
    • 패치 조치: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공급업체 지침)
  • 권한 부재 (CVE‑2025‑20362)
    • 취약 환경: 동일한 ASA/FTD 구성요소
    • 공격 흐름
      1. 인증 없이 민감 리소스 접근
      2. 연쇄: CVE‑2025‑20333과 연결돼 완전 제어 획득
    • 패치 조치: 인증 로직 검토, 패치 배포

3️⃣ BOD 22‑01 (Cloud Services Guidance)

  • 목적: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대한 보안 기준 설정
  • 핵심 내용
    • 미용: 취약점이 있는 제품은 사용 중단 권고
    • 대안: BOD 22‑01 준수 클라우드 솔루션으로 교체
  • 적용 절차
    1. 평가 – 현재 사용 중인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이드라인 충족 여부 확인
    2. 대체 – 비호환 서비스는 즉시 중단 및 대체 조치
    3. 문서화 – 변경 내역과 이유를 기록

⚠️ 요약: KEV due date에 맞춰 ED 25‑03과 CISA 지침을 따르고, Cisco ASA/FTD의 버퍼 오버플로우·권한 부재 취약점을 즉시 패치하거나 중단하며, 클라우드 서비스는 BOD 22‑01 기준에 부합하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출처: https://knvd.krcert.or.kr/detailSecNo.do?IDX=6589

728x90
반응형
SMALL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정부, 2025년 하반기 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 선정...스마트기술 주목  (0) 2025.09.26
[보안뉴스]구글 맨디언트, “‘브릭스톰’ 백도어 공격 주의”  (0) 2025.09.26
[보안뉴스]엠클라우독, 늘어난 보안 위협 해법으로 ‘문서중앙화’ 강조  (0) 2025.09.25
[보안뉴스]카카오 AI비서·토스 안면결제도 사전적정성 검토 거쳐...제도 2년 성과 발표  (0) 2025.09.25
[보안뉴스]“구글·메타·오픈AI, 6개월 내 국내 법인으로 국내 대리인 변경해야”  (0) 2025.09.25
'보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안뉴스]정부, 2025년 하반기 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 선정...스마트기술 주목
  • [보안뉴스]구글 맨디언트, “‘브릭스톰’ 백도어 공격 주의”
  • [보안뉴스]엠클라우독, 늘어난 보안 위협 해법으로 ‘문서중앙화’ 강조
  • [보안뉴스]카카오 AI비서·토스 안면결제도 사전적정성 검토 거쳐...제도 2년 성과 발표
레부긔
레부긔
  • 레부긔
    코딩이 싫은 거북이
    레부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67)
      • 인프라 취약점 진단 (0)
      • 웹 취약점 진단 (2)
        • BWAPP (1)
        • DVWA (1)
      • DevOps 통합 (4)
        • NAS_NextCloud (3)
        • Cuckoo Sandbox (0)
      • API 관련 (0)
      • 보안이슈 (1047)
      • CVE (13)
      • 2021 주정통 취약점 분석•평가 가이드라인 (0)
  • 인기 글

  • 250x250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부긔
[KRCERT]美 CISA 발표 주요 Exploit 정보공유(Update. 2025-09-25)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